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4.19

5일장은 언제부터 생긴건가요?

과거우리나라에는 많은 5일장이 열렸는데 지금은 전보단 규모가 많이 작아서 안타깝더라구요 5일장문화는 우리나라에 언제부터 생기기시작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일장이 언제부터 생기게 되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정기적으로 장시가 열렸다고 합니다. 그러나 장시가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조선 후기였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장시의 수가 크게 늘어나 전국 곳곳에서 열렸는데, 이것은 사회적인 변화 때문이었습니다. 농민들은 자신이 먹을 곡식 외에 장시에 내다 팔기 위한 상품 작물을 재배하기 시작했고, 수공업이 발달해 여러 가지 공산품이 만들어졌으며, 화폐가 널리 쓰이면서 물건을 사고팔기가 쉬워졌기 때문이다. 19세기 초에는 전국적으로 1,000개가 넘은 장시가 섰다고 합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시는 대부분 5일장이었습니다.

    주변의 다섯 개 지역을 하나로 묶은 뒤 날짜를 달리 하여 시장을 열었습니다. 이러한 5일장 조직은 전국을 벌집 모양으로 연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일장은 조선 시대의 장시(場市)에서 그 역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장시는 정기적으로 열리던 사설시장으로

    보부상들이 모여 물건을 팔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항상 고정적으로 열리는 상설시장과는 달리 일정한 주기에 따라 여리는 정기시장 즉 5일장이 발달해왔습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인구밀도가 낮고 교통이 불편하여 매일 시장이 열리기 어려웠습니다. 이로 인해 며칠마다 한번씩 열리는 정기시장이 발달해왔습니다. 5일마다 열리는 정기시장은 농경사회에서는 경제적 역할을 톡톡히 해왔으나 산업화 정보화사회가 되면서 마트 백화점 등이 들어오면서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15세기 말에 시작한 장으로, 5일마다 열리는 장을 말합니다. 이 장날에 열흘 간격에 열리던 장이 임진 왜란을 거치면서 그 수가 증가해서 17세기 후반에는 5일 간격으로 열리게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5일장은 한 지역에서 한 달에 여섯 번을 서게 되지만 큰 마을 단위로 서게 되므로 한 군에서 보통 세 군데에서 많은 면 4-5군데에서 장이 날짜를 번갈아 가면서 선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