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1

한국의 빈부격차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세계적인 기준으로 봤을때 한국의 빈부격차는 심한편인가요?? 아니면 서서히 해결되고 있는건가요?? 사회문제로 대두될만 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격차가 심하다 ! 이말에서 기준이 어디에다 두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지구상 어느나라도 빈부격차가 없는 나라가 없죠.

    열심히 산다고 해서 무조건 잘사는것도 아니고 게으르다고 못사는것도 아니지만 확률상 성실할 수록 가난에서 벗어날 확률도 높다고 봐야죠. 교육환경이나 주변환경 등에 따라서요.


    한국이 빈부격차가 심하다면 어디 잘 사는 북유럽과 비교하면 맞을 수도 있지만 미국 역시 빈부격차가 심하답니다.

    아무튼 보통 비교를 할 때 한국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하기에 그런 말이 나올 수도 있죠.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빈곤층이 많고 적고는 기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되는 소득 불평등 척도인 지니계수는 1990년대 후반부터 증가하고 있t습니다. 지니 계수의 범위는 완전한 평등을 나타내는 0에서 완전한 불평등을 나타내는 1까지입니다. 2018년 한국의 지니계수는 0.31로 소득 불평등이 높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한국의 빈부격차가 커지는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국가의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크고 강력한 비즈니스 엘리트가 발전한 반면 많은 근로자의 임금은 정체되었습니다.

    또한 정규직보다 임금이 낮은 비정규직과 시간제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소득격차도 확대됐다. 인구 고령화는 사회복지제도에 부담을 주고 중산층과 저소득층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1년 세계불평등연구소에서는 한국과 같은 경우

    서유럽국가들과 구매력 등이 비슷한 수준이라고 하였으나

    소득기준 상위 10%와 하위 50%의 격차가 14배,

    부 기준 상위 10%와 하위 50%의 격차가 52배가 나는 등

    상당히 심각하다고 평가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OECD 통계를 보면 한국의 빈부격차 및 부의 불평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8년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은 16.7%로 37개 회원국 중 4위를 차지합니다. OECD 평균(11.5%)보다 5.26%p나 높은 수준입니다. 우리보다 높은 나라는 코스타리카(19.9%·1위), 미국(17.8%·2위), 이스라엘(16.9%·3위)뿐입니다. 여기서 상대적 빈곤율이란 전체인구 중 기준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을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