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새까만등에271
새까만등에27121.08.16

11살 딸아이가 평발 같아요 평발 치료도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딸 아이가 11살 인데 발이 평발이라서 오래걸으면 발이 아프다고 하고 체형도 변한다하는데 평발 치료가 가능한가요? 평발 치료가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디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따님의 나이가 아직 11살이라면 통증 등 증상이 아주 심한 것이 아니라면 우선은 평발이 신기 편한 신발 및 보조기 등을 적극 활용하여 보존적인 치료를 하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춘기가 지나가면서 정상적으로 소아의 발 아치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춘기가 지나가도록 좋아지지 않고 통증이 계속 생긴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에 다니시며 경과를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족부전문 정형외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보조기 착용, 깔창 착용 같은 치료를 우선 시행해볼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발이 의심 되시는군요 이럴 때는 전문클리닉에 방문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평발은 교정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아직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정형외과에서 상담받으시고 인솔 등의 보조장치를 사용해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발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증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어서, 기능상 전혀 문제가 없어서 질환이라고 하기 어려운 경우부터 강직과 기능의 장애를 동반하는 심한 변형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성장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 교정이 가능하며, 성인이 되셔서 증상이 없는 경우엔 별도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성인이 되어서 보존적 치료로 지지대 깔창을 사용해볼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하거나 관절의 변형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료를 위해선 정형외과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인체가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과정에서는 유아에게 발의 종 아치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5~6세까지 평발로 보이는 것은 정상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소아의 경우 대부분 증세가 없으므로, 사춘기나 청소년 때까지 증세가 발현되는지 수시로 관찰하면 됩니다. 편한 신발을 신기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보조기나 특수 신발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고 편평발의 변형이 심해서 발 안쪽에 굳은살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지는 경우, 족근골 결합 때문에 발을 자주 삐는 경우 등 특별한 경우에 한해 보조기나 특수 신발을 사용합니다. 통증이 있을 때는 가능한 한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도록 권장합니다. 수술을 해야 한다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① 보존적인 치료
    증세가 없는 경우에는 특별히 치료하지 않습니다. 통증은 없고 피로만 느껴지는 가벼운 증세라면 체중 부하를 정상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신발 내에 종 아치 지지대 깔창이나 발의 아치 패드를 착용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건이 단축된 상태라면 건 스트레칭을 해야 합니다. 또한 아치 부근의 근육들을 강화해 주는 운동, 예를 들어 발가락으로 수건을 집어 옮기기, 발가락 올리기, 발가락 끝으로 걷게 하기 등 후 경골근 강화 운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합니다.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등산이나 장거리 보행, 지나친 체중 부하를 제한합니다. 갑자기 통증이 느껴지고 국소적인 열이 있을 때는 냉찜질을 합니다. 대개는 통증이 있을 때 온찜질이나 진통 혹은 진통 소염제를 쓸 수 있습니다.

    ② 수술적 치료
    사춘기 이후까지 변형이 그대로 남아 있지만, 통증이 가벼운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위의 보존적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할 때는 관절 고정술과 같은 뼈 수술로 아치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은 골과 관절에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대상은 장기간의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되는 경우, 변형이 심해져서 신발 모양이 이상해지는 경우입니다. 또한 신경 근육성 질환과 관련된 평발이거나, 청소년기 이후에 후 경골근건 기능 장애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변형 교정을 위해서 발 안쪽의 건을 단축시키는 방법, 발뒤꿈치뼈를 늘이는 방법, 발목뼈와 발뒤꿈치뼈 사이에 삽입물을 넣거나 관절을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기타 강직성 평발과 관련된 원인 질환에 대한 다양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의 발은 신생아 때 평발이다가 두 발로 걸으면서 골반과 고관절이 단단해지고 발에 아치가 점점 생기게 됩니다.

    골반과 고관절까지 완성이 되는 시기가 대개 만 13세 까지이므로, 아직 어린 나이면 굳이 치료가 필요한 단계는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만약 만 13세 이후에도 발이 계속 평평하고 통증이 심하면 그때 가서 치료를 해도 늦지 않습니다.

    발바닥 아치는 발바닥 전체를 사용해서 많이 걸을 때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므로 평소에 많이 걸을 수 있게 해 주시면 좋습니다.

    저희가 환자분을 직접 뵙지 못하고 진찰을 하게 되므로 진단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가까운 관련병원에 방문하시어 직접 진찰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관련된 과로는 정형외과 중 족부만 전문적으로 하시는 정형외과가 있습니다. 지역에서 검색해서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료

    대부분 소아의 유연성 평발(편평족)은 치료가 필요없습니다. 편한 신발을 신도록 해주는 것으로 충분하며 보조기나 특수 신발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드뭅니다. 체중이 과도하고 평발 변형이 심하여 발 안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질 정도로 심한 경우이거나 족근 골 결합 등에 의해 발을 자주 삐는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보조기나 특수 신발이 도움이 됩니다. 보조기나 특수 신발 또는 아치 지지대 깔창을조기에 착용하는 것이 평발 변형을 교정시킨다는 주장은 의학적으로는 근거가 없습니다. 보통 10~12세까지 정상적으로 소아 발의 아치가높아지는 자연 경과와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1. 보존적인 치료

    증상이 있을 경우 아치 지지대 깔창을 신발 내에 착용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이 단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 스트레칭이 필요하며 효과가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발가락 끝으로 걷게 하거나 발가락 올리기 운동을 반복시켜 후 경골근을 강화시키는 운동도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아치 지지대 깔창

    2. 수술적 치료

    사춘기 이후까지 변형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통증이 가벼운 경우에는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수술적 치료의 대상은 장기간 보존적 치료에효과가 없으며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 제한을 받는 경우, 심한 변형으로 인하여 구두 모양이 이상해지는 경우입니다. 신경 근육성 질환과관련된 평발이거나 청소년기 이후 후 경골근건 기능 장애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방법으로는 변형 교정을 위해서 발 안쪽의 건을 단축시키는 방법, 발뒤꿈치 뼈를 늘이는 방법, 발목 뼈와 발뒤꿈치 뼈 사이에 삽입물을 넣거나관절을 고정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어 있으며, 기타 강직성 평발과 관련된 원인 질환에 대한 다양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