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1038283
103828323.03.04

아기 잠투정이 너무 심해요 ㅠㅠ

이제 만8개월다되가는 아기인데요

이전에도 잠투정이 심하긴했지만 그럴땐 재우면

바로잤거든요 ㅠㅠ

그런데 요즘들어서는 계속 졸린지 눈비비고 찡찡대는데

재우려고하면 안자고 한참 뻐팅기다가 겨우자요 ㅠ

왜 졸린데 재워주면 안자려고 할까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잠투정이 심한 아이는 잠자기 2시간 전후로 따뜻한 물로 목욕 시키는 것을 권해드려요. 이때 놀이처럼 활동적인 목욕은 수면에 방해가 되니 15분 이내로 씻겨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자기전 아이에게 마사지를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근육의 이완을 돕고 스트레스를 풀어주기때문에 편안한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조명을 어둡게 하고 적당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한 후 소음을 줄여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울때 바로 안아서 재우면 안아 주지 않으면 잠이 들지 못하는 습관이 생길수 있으니 바로 안아주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잠투정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가 고플 경우, 피곤할 때, 트림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감기와 같은 질병, 기저귀 발진이나 통증으로 인해서 그렇습니다.

    따라서 잠투정을 달래고 예방하는 방법은

    취침 1~2시간 전 따듯한 목욕, 자기 전 마사지, 조명 어둡게 하기,

    쾌적한 수면환경 조성(온도 22~25도, 습도 50~60%)

    규칙적인 수면 진행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체력이 좋아져서 저녁에 충분히 피곤하지 않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잠을 안자려고 버티는 것 같습니다.

    아이는 더 놀고 싶은데 부모님은 재우니 아이 입장에서는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입니다.

    아이의 신체활동을 조금 더 늘리면 잠을 자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아이는 자신의 상태를 말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민감하게 아이를 관찰하셔서 아이에게 어떤 불편함이 있는지 짐작하여 대처할 수밖에 없는 시기 입니다.

    가장 좋은 부모의 태도는 심리적 유연성 입니다. 아이가 크면서 생길 수 있는 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유연하게 대처해 보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성장통이나 이앓이는 아닌가요? 아이가 성장하면서 느끼는 것 일수 있으니 부모님이 힘드시더라도 잘 더독여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밤이 오면 자야 한다는 것을 아는 아이는 많지 않다. 특히나 지능이 발달하면서 아이들은 잠자는 시간이 엄마와 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잠드는 것을 두려워하고 거부하게 된다. 또한, 소화기 장애로 나타나는 영아산통이나, 성장통, 치아통증, 중이염 등 고통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이 잠투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민한 아이의 경우 기저귀가 젖었거나 작은 소음에도 놀라 일어나게 되고 깊은 잠에 들지 못한다. 영아 산통은 보통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결되지만, 예민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잠투정의 원인이 무엇인지 세심하게 관찰하고 아이의 기질에 맞춰서 해결방법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