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세금·세무
충실한동박새109
충실한동박새109
21.12.31

공동상속주택의 주택수 판단은?

안녕하세요?

공동상속주택의 경우 최대지분자 1명의 주택수로만 계산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아래 경우에는 어떻게 주택수가 계산 되는지 궁금합니다.

부부가 있는데 주택을 1채 보유 중이고 지분은 남편 60 : 아내 40 이며,

부부 사이에는 1명의 자식이 별도세대로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남편이 사망하여 상속이 발생하여 남편의 지분 60을 아내 20, 자식 40 으로

나누어 상속하였습니다.

이 경우에 상속주택에 대한 아내의 총 지분이 60 자식이 40이 되는데

그러면 각각의 주택수 계산시 아내 1주택(기보유 지분 40 + 상속지분 20)

자식 2주택 (기보유 주택 1채 + 상속지분 40)가 되는건가요?

만약에 남편 보유지분 60을 아내 40, 자식 20으로 상속하면

아내 1주택(기보유 지분 40 + 상속지분 40)

자식 1주택 (기보유 주택 1채 + 상속지분 20)가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진실한거위208
    진실한거위208
    22.01.02

    안녕하세요. 최영 세무사입니다.

    상속주택의 경우 각자 일부지분별로 상속을 받았다면 지분율이 가장 큰 자의 주택수에 포함 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따라서 해당의 경우라면 60프로 소유한 남편의 주택수에 포함됩니다. 참고로 세법상 남편과 아내는 같은 세대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1.01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공동상속주택의 주택수 판정은 상속지분이 가장 큰 자, 상속주택에 거주한 자, 최연장자 순으로 판정하며 지분판정시 상속개시시점을 기준으로 판정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