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조선 후기 신분제도의 차이가 있나요?
조선 시대 때만 해도 신분의 의해서
각 개인의 지위, 권한, 사회적 위치 등이 결정되었다고 알고 있는데,
이 신분제도가 조선 전기, 후기가 다르다고 하더라구요~
조선 전기, 후기 신분제도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에는 신분제가 딱 두가지로 나뉘는 양천제가 있었습니다.
양인과 천민으로만 구분이 되었고, 이는 법적으로 존재하는 신분이었고 실제로는 4개의 단계로 구분된 반상제가 지배했습니다.
반상제로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성됩니다.
양천제는 양반과 천민으로만 구분되어 있으며 양반은 문반과 무반으로 과거를 거쳐 관직에 나간 관리를 말하며, 자신의 노력과 실력으로 신분이 정해지는 것을 뜻하나 반상제로는 양반은 문, 무관리인것 같으나 아버지가 관리이면 가족 모두 양반이 되는 세습제로 바뀌는 사족으로 변하게 됩니다.
중인은 기술관과 서리, 향리 등이 포함되며 양반의 첩의 자식인 서얼도 중인이며 서얼의 경우 문과시험은 응시하지 못하고 무과만 응시가 가능했습니다.
국가의 생산력을 대부분 담당하는 상인은 농민과 수공업자, 상인 등이었고 신분은 양인인데 하는 일은 천한 역할을 맡았다고 하여 신랑역천 부류가 있었습니다.
천민은 노비를 뜻하며 부모 중 한명이라도 천민이면 자식이 천민이 된다는 일천즉천의 제도가 있었으며 백정, 무당, 기생들이 천민에 속합니다.
조선후기에는 권반이라고 하여 권력을 가진 양반 등 벌열 양반과 시골 양반인 향반이 있었고 몰락한 양반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들어서며 환국이 시작되며 붕당정치가 변질되어 상대 붕당을 다시는 일어설수없도록 하면서 몰락한 양반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소청, 허통 운동이라하며 개혁을 중요시했던 영조와 종조 때 새로운 인재를 등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서얼 출신들이 관리로 등용되었고, 중인으로 역관이 있었는데 통역을 담당하던 인물들로 사신들이 청나라에 갈 때 따라가면서 홍삼과 인삼을 가지고 가 청나라에 팔아 큰 부를 축적하게 됩니다.
농민과 노비의 신분도 차차 변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일반적으로 조선 신분제는 양천제(양인과 천인), 반상제(양반과 상민)를 근간으로 하는데 조선 전기 신분제도는 엄격한 신분 질서가 확립되어 있었다고 한다면 조선 후기는 신분을 사고 팔게 됨에 따라 노비도 양반이 될 수 있는 신분제도가 정착되었다 볼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은 제도 차이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조선전기에는 강력한 신분제도로 오로지 양반, 중인, 상인, 천민 으로 정해진 신분에 의해서만 나누었습니다. 하지만 후기에는 돈으로 인해 이런 것들이 흔들리게 되었습니다. 상업도 농업도 발달하고, 전쟁도 있었고 해서 돈으로 신분을 사는 등의 행위가 있었기 때문에 양반이 확 늘어났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신분제는 양반-중인-상민-천민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양반은 문반과 무반을 합치는 말로,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중인은 하급관리만 할 수 있고 주로 서얼(서자+얼자=첩자식)이 해당되는 신분입니다. 상민은 대부분의 백성이었고, 천민은 대부분 노비였습니다. 이 신분제도는 임진왜란 이후 균열이 발생했고, 순조 때 공노비를 해방시키는 등 신분제가 와해되는 현상이 조선 후기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노비제도는 1차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신분제가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별은 여전히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차별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백정 신분을 중심으로 형평운동이 발생했습니다. 확실하게 차별이 사라진 것은 한국전쟁 이후부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