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24

가야 중에서 금관가야는 왜 이름이 금관가야인가요?

가야는 낙동강 유역에 있던 고대 국가라고 하는데요. 가야는 6개 나라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금관가야는 왜 이름이 금관가야라고 붙여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해의 가야 세력을 가리키는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고려시대에 비롯된 조어이고 가야시대에는 ‘대가락’이나, ‘가락’으로 불리었습니다.

    가야의 다른 이름인 가라는 외국을 뜻하는 일본어의 'から(가라)'로 전해지기도 했습니다. 일본서기에서는 '가락국은 수나라'라고 쓰고 있는데 현대 우리말로는 '쇠나라'로 읽힙니다. 이는 왜와의 교역에서 가야의 주요 수출품이 쇠, 즉 철기였기 때문이었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금관가야란 이름이나 삼국사기에 기록된 금관국이란 이름 역시 모두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해를 중심으로 건국된 금관가야는 3세기 전기 가야 연맹의 맹주로 김수로왕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금관 가야의 국호는 고려시대에서 비롯된 조어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고려 태조가 통일 이후 행정 제도를 개편하는 고정에서 5가야 이름 중 하나를 금관으로 지정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관가야는 서기 전후부터 서기 532년까지 존속하던 전기 가야의 대표적인 나라인 김해의 가락국을 일반적으로 부르던 호칭 입니다. 김해의 가야 세력을 가리키는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고려 시대에 비롯된 조어이고 가야 시대에는 ‘대가락 (大駕洛)’이나, ‘가락 (駕洛)’으로 불리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관가야는 서기 전후부터 서기 532년까지 존속하던 전기 가야의 대표적인 나라인 김해의 가락국을 일반적으로 부르던 호칭입니다. 김해의 가야 세력을 가리키는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고려시대에 비롯된 조어이고 가야시대에는 ‘대가락(大駕洛)’이나, ‘가락(駕洛)’으로 불리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