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기준은솔직히누가정하는건가요?
우리나라문화는꼭돈이따라다녀야한다는게조금아이러니하지만축의금기준금액은왜시세에맞게내야하는건지그리고진심으로축하해주고구지밥을먹지않아도참석한거에의미를두는건안되는건가요?
측의금문화는누가결정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축의금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냥 사회적으로 대략 합의되는 범위가 있는 것이지
정확하게 이렇다 저렇다 할 기준은 없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축의금 기준을 공식적으로 정하는 특정 주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암묵적으로 형성해온 집단 지성의 결과물입니다. 마치 언어가 자연스럽게 변화하듯이, 축의금 기준도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만들어집니다.
즉 이러 집단지성의 결과물로 사람들이 스스로 물어보고 SNS상에서 커뮤니티에서 일종의 암묵적룰로 만드는것이지 이는 사회통념상일뿐 누가 주체해서 만드는게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물가가 오르다보니 손님 대접하는 식대도 무시못합니다.
1인당 5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과거 5만원이던 기준이 10만원이 기본이 되고 있는 것이지요.
축의금은 아무래도 손님대접하는 식사보다는 높은 금액으로 기준이 되는것 같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축의금을 안주셔도 상롼없습니다. 다만 내가 다음에 안받을 생각이면요. 그 분한테 기대하지않는다면 굳이 내가 줘야할필요는 없어요. 다만 줘야한다면 최소금액은 요즘 5만원 시작이라로 볼것같습니다. 그 이유는 예식장 식대 비용 때문이라로 볼수 있습니다.
축의금 기준은 누군가가 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회 통념상으로 그냥 이정도면 된다 하는 기준을 각자가 정해놓는 것입니다. 만약에 질문자 님이 밥을 먹지 않아도 참석한 것에 의의를 두고 싶다고 하셔도, 일반적으로 통념상 정해지는 것이 있기 때문에, 결혼하는 사람이 내지말라고 하지 않는 이상 조금은 축의금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기는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