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22

차후에 국민연금이 고갈될 수도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예전부터 항상 나오던 말인데 나중에 우리가 늙어서 국민연금을 받을 시기가 되면 국민연금이 고갈이 될수가 있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 것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재철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재철 경제전문가
    보험대리점
    23.10.22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고령화가 되면서 국민연금고갈문제는 피할수없을텐데요

    하지만 부과방식을 바꾸는등

    정부는 방법을 모색하고 해결하리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의 고갈에 대해서는 언론이나 뉴스에서 자주 나온 내용입니다. 국민연금 고갈 이유는 현재는 납부 금액이 지급 금액보다 크기 때문에 유지가 되지만 조만간 납부금액보다 지급금액이 더 커지기 때문에 현재 운영하는 국민연금이 계속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급 연령이나 금액을 조정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속도라면 2041년을 기점으로 국민연금 재정이 감소세에 접어들게 됩니다.

    현재 논의중인 개편안으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지금처럼 지급하고 향후

    노인인구 급증과 출생률 저하로 납부하는

    사람이 줄어듬에 따라서 고갈이슈 등이 있으나

    향후 지급 및 수급방식 등의 변화로 방어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그래서 국민연금 수급률과 반영률을 계속 조정되고 있습니다. 출생률이 줄고 있어 더 빠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봤을 때 국민연금은 2060년에 고갈됩니다. 연금개혁이 필요하나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 속도를 내지 못한 상황입니다. 국내외를 불문하고 연금 개혁을 단행한 정권은 모두 교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인구가 저출산으로 접어들면서 국민연금을 납입하는 인구는 감소하고 노인 인구는 증가하면서 수령하는 인구가 증가하게 되다 보니 2050년도에 고갈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쉽게 생각하면 내는 사람은 적어지고 있는 반면에 돈을 수령해가는 사람은 점차 증가하게 되다 보니 현재의 자금은 점차 줄어들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