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인지이론에서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발달단계 순서 고정 이유
피아제의 인지이론에서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추론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 형식적 조작기라는데 그럼 구체적 조작기는 구체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인가요? 어떻게 둘이 비교되며,피아제의 인지이론은 발달단계에서 순서에는 변화가 없다고 하며 순서의 고정을 이야기하는데 그렇게 보는 이유는 무엇이며 현실에서 순서가 바뀌어 발달한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피아제의 인지이론에서는 발달 단계의 순서가 바뀌면 인지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개인의 경험과 환경에 따라 발달 단계의 순서가 바뀌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개인의 인지 능력과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피아제 인지이론은 인간의 인지 발달을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한 이론으로 심리학의 인지이론에 있어서 영향력 있는 이론 입니다.
피아제는 한 사람의 아동기가 사람의 발달과정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역할 기능을 한다고 생각 하였는데요.
그에게 인지발달은 신체적 성숙과 환경적 경험으로 부터 비롯되는 정신적 과정의 점진적 재조직 이었습니다.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발달은 4단계를 통하게 되며 질적으로 이 단계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고 단계가 높아질 수록 복잡성이 증가된다고 하였습니다.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한다는 말은 예를 들어 파란 신호일 때 길을 건너는 것, 구구단을 외우는 것 등을 말하는데요. 즉, 인간의 지적능력은 타고난 것이되, 그 것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인지발달 이라는 것입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발다하는 과정은 순서가 있습니다. 다만 개인차가 있을 뿐 입니다.
예를 들면 아기는 뒤집고, 되집고, 배밀이, 기어다니고, 걸으면서 성장을 합니다. 그렇기에 발달단계는 고정적으로 가지만 성장하는 속도는 개인차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