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1.31

현재 미분양 되는 아파트 들이 많습니다.

현재 미분양 되는 아파트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건설사는 금액을 확보할 수가 없어서 망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그럼 지금 부동산, 또는 건축에 대해서는 불황기 인가요?

아직도 만들어지는 아파트 들이 많아서 건축사는 호황인줄 알았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1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이 많이 되고 있다고 해서 꼭 호황은 아닙니다.

    수년간의 사업계획과 건설계획에 의거 신규분양 공급계획을 진행하다보니 대외적인 변수나 수급의 불균형에 의거 불황기를 맞는 수도 있는 것입니다.

    미분양이 나면 건설사나 시공사나 자금계획에 다소 차질이 오겠지만, 은행이나 보증기관의 프로젝트 파이넨싱에 의하여 자금조달을 보증받고 있습니다.

    부동산 PF대출은 시행사가 PF대출을 받고 시공사가 지급보증하는 형태가 가장 일반적인데, 아파트, 주상복합, 상가 등을 지으면서 미래에 들어올 분양수익금을 바탕으로 금융사에서 돈을 대출 형태로 조달하는 것입니다.

    부동산PF는 개발사업에서 발생할 현금흐름으로 토지구입 용지비 및 공사비, 사업비, 인건비 등의 소요자금을 충당하는데, 프로젝트의 사업성이 저하되거나 분양이 저조한 경우 사업주체인 시행사는 대출의 상환이 어려워져서 요즘처럼 분양이 미분양이 나거나 하면 부도위험에 봉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부동산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를 풀고 거래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정책을 펴고, 사회 경제 전체적인 경기를 고려하여 부동산수급에 대해 다각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축행위는 인허가 문제 때문에 2-3년 전에 미리 다 계획이 잡히게 됩니다.

    따라서 시차가 좀 있습니다.

    지금 제가 봐도 많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는데, 거꾸고 2-3년전이 딱 호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지금은 불황이 맞습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는 이렇게 시차로 인한 사이클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시 호황이때 잘 잡으시면 좋은 결과가

    이어질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