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23.01.28

조선시대 관복 색의 급수 기준이 뭔가요?

사극에서 어전 회의를 보면 신하들이 관복을 입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붉은색, 푸른색, 초록색을 입고 있던데 이 색을 나누는 급수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23.01.28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복장의 색깔은 품계를 나늬는데 사용하였습니다.

    정삼품이상 당상관은 붉은 계열 정삼품이힌 당하관은 청색계열 복장을 하였습니다. 성종때는 4ㅡ7급은 녹색을 입도록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초기 1392년에 정해진

    관복 규정에

    정1품~종2품은 적색포,

    정3품~종6품은 청색포,

    7품이하는 녹색포를 입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국대전에는 관리의 공식 집무복인 관복의 색상과 재질, 흉배 등이 품계에 따라 구분되어 있습니다. 정1품에서 정3품까지는 붉은색 비단을, 종3품에서 6품까지는 푸른색, 7품에서 9품까지는 초록색을 사용하여 관복을 만들었습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