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영특한독수리54
영특한독수리5423.01.08

해수면 상승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흔히 지구 온도가 높아지면,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한다는게 대게 알려진 현상이잖아요.

근데 이거 말고도 해수면이 상승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큰레아34입니다.

    해수면 상승()이란,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거나 기타 지구의 역사를 설명할 때[1] 쓰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에 의해 최종적으로 바닷물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미 물에 떠 있는 빙산이나 유빙이 녹는 것은 거의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지 않는다. 부력의 원리에 의해 이미 물에 잠겨 있는 부분이 해수면 높이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빙하에서 빙산이 떨어져 물에 뜨는 순간 그 얼음덩어리의 기여는 끝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믿기지 않으면 집에서 얼음을 넣은 컵에 물을 가득 부어놓고 지켜보자. 얼음이 녹아도 컵에서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지 간단한 실험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육상에 올라와 있는 빙하와 러시아나 캐나다의 영구동토층[2] 등이 녹아서 바다로 흘러드는 것이 전체 해수량을 늘려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고, 수온 상승으로 인해 바닷물의 밀도가 낮아져 부피가 증가하는 열팽창으로 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물의 열팽창은 매우 낮지만 전체 해수량이 매우 많기에 이에 따른 부피량 증가가 무시못할 수치가 되어 해수면 상승을 일으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