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23.09.13

선풍기의 바람을 쐬면 왜 시원한 원리는 무엇인가요?

선풍기의 바람이나 밖에서 바람을 쐬면 시원한데요.

그렇다면 과학적으로 어떠한 원리로 몸이 시원한건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23.09.13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체는 가만히 있어도 대류에 의해 몸의 열이 몸밖으로 배출된다. 선풍기는 바람을 일으켜 체열에 의해 달궈진 몸 주변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열 순환을 빠르게, 더 자주 일어나게 해주고, 피부의 수분이 마르는 속도를 증가시켜 기화열로 빠져나가는 체온의 양을 늘려준다. 즉 기본적인 원리는 전통적인 계절도구인 부채와 같다. 원리상 몸에 물이 묻어있거나, 수분 함량이 많은 로션이나 크림 등을 바른 상태일 경우 기화열로 잃는 체온이 늘어나므로 더 시원하다.

    선풍기는 어디까지나 열의 교환을 가속시키는 기계지 온도를 낮추는 냉각 기능은 없다. 따라서, 주위 기온이 피부 온도보다 높으면 온풍기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보통 체표면 온도 정도의 기온(32~33도)에서 선풍기를 틀어도 별로 안 시원하고, 이 이상의 온도에서 선풍기를 틀면 더 더워진다. 그래도 우리 몸에서는 땀이 나기 때문에 기화열을 뺏기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선풍기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내부에 있는 뜨거운 공기를 이동시켜서 비교적 시원한 느낌을 주고, 몸의 수분을 빨리 증발시켜 시원하게 만들어 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9.13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선풍기의 바람이 시원하게 느껴지는 원리는 주로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합니다.

    1. 증발 냉각 (Evaporative Cooling): 선풍기의 바람은 피부와 주변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촉진시킵니다. 인체는 피부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데, 이때 고온의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합니다. 선풍기가 작동하면 주변 공기를 움직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공기 유동은 수분 증발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그 결과, 수분이 빨리 증발하여 피부 주위 온도를 낮추고 체감 온도를 낮춰 시원함을 느끼게 합니다.

    2. 대류 (Convection): 선풍기는 주변 공간의 대류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선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은 공간 내의 공기를 움직여 실내의 따듯한 공기와 차단된 부분 사이에 열 균형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선풍기로 인해 찬 바람이 지나가면서 따듯한 공기와 균형을 맞추어 줄어든 온도로 인해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선풍기나 바람을 쐬면 시원한 이유는 증발열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증발열은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 발생하는 열입니다. 액체가 기체로 변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체의 온도는 낮아집니다.

    사람의 몸은 땀을 흘리면서 체온을 조절합니다. 땀이 증발하면 증발열을 흡수하여 몸을 시원하게 합니다. 선풍기나 바람이 땀을 증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시원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선풍기가 땀을 증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선풍기의 바람은 땀이 증발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선풍기의 바람은 땀을 흐르게 하여 더 많은 땀이 증발하도록 합니다. 또한, 선풍기의 바람은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땀이 증발하기 더 쉬운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밖에서 바람을 쐬면 시원한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람은 땀을 증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몸을 시원하게 합니다. 또한, 바람은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땀이 증발하기 더 쉬운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선풍기나 바람을 쐬면 증발열을 이용하여 몸을 시원하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선풍기나 바람을 쐴 때 시원한 느낌을 받는 이유는 피부와 땀 간의 열 전달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원한 느낌은 기체 역학과 열 전달의 기본 원리를 따릅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땀과 증발:

      • 우리 몸은 항상 약간의 땀을 분비합니다. 이때, 땀은 피부 표면에 존재하며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 선풍기나 바람을 쐬면 주변 공기가 피부 주변의 땀을 증발시킵니다. 물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는데, 이것이 땀이 몸에서 열을 빼앗아 시원한 느낌을 주는 원리입니다.

    2. 열전달과 대류:

      •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증발 냉각'이라고 합니다. 이때, 주변 공기의 움직임이 중요합니다.

      • 선풍기나 바람을 쐴 때 공기가 피부 주변으로 흐르면, 증발한 땀을 빨리 대류시켜 새로운 공기로 대체합니다.

      • 이렇게 대류에 의해 새로운 공기로 교체되면 땀의 증발이 계속되어 몸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3. 기식 냉각:

      • 공기의 흐름이 몸 주위로 오면, 몸의 열을 흡수하는 과정이 발생합니다. 이것을 '기식 냉각'이라고 합니다.

      • 공기가 몸 주위로 흐르면 몸의 열을 흡수하고, 시원한 공기가 피부와 땀을 빠르게 대체합니다.

    요약하면, 선풍기나 바람을 쐴 때 시원한 느낌은 주로 땀의 증발과 대류, 기식 냉각 등의 열 전달 과정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몸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체온을 조절하고 시원한 느낌을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선풍기의 바람이나 밖에서 바람을 쐬면 시원한 이유는 몸의 온도는 약 37도입니다. 선풍기의 바람이나 밖에서의 바람은 이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람이 몸을 통해 흐를 때, 열이 바람으로 전달됩니다. 즉, 바람이 몸에서 열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몸이 시원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선풍기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부는 곳에 있으면 시원함을 느끼게 되는데요..

    이는, 선풍기라서라기 보다는 바람이라는 인자와 우리몸 즉 피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는데요

    잘 아시다시피 우리 인체는 땀을 통해 열을 조절하려고 합니다.

    선풍기 바람이 피부로 불어오면 땀이 증발하기 쉬워지고.. 땀이 증발하면 열이 피부에서 빠져나가는데,

    이 과정은 열을 흡수하는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결과적으로 피부의 온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시원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