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23.10.17

아파트 실내 천정 높이는 정해진 높이가 있나요?

아파트의 실내 거실바닥에서 천정 높이까지 일괄적으로 높이가 정해져있는건가요?

아님 아파트의 브랜드별로 각각 높이가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마트한허스키99입니다.

    현재 대부분 아파트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높이가 2.2~2.3m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규정을 보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거실의 반자 높이(실내 층고)는 2.2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어서 최소 기준에 맞춰서 만드는 겁니다.

    천장 높이는 건물 전체 높이 제한 및 건축비와 연관되기 때문에 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최소 기준에 맞는거지요 .

    하지만 4~5년전부터 강남권 고가주택 중심으로 2.5m 이상인 곳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10cm만 높아도 되게 커보일겁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줄나비274입니다.

    아파트의 실내 거실바닥에서 천정 높이까지는 일괄적으로 높이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건축법상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거실의 반자 높이(실내 층고)는 2.2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으며, 국민 신장의 변화, 실내 개방감 확보, 환기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기준입니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실내 층고 기준 자체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세종시의 경우 국민 신장의 변화, 실내 개방감 확보, 환기 용이성 등을 근거로 새로 짓는 아파트의 천장고를 아예 2.4m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별로 실내 층고를 다르게 설계하는 경우도 있으며, 고급 아파트의 경우 실내 층고를 높여 개방감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는 경우도 요즘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