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06

악성 댓글을 다는 행위, '군중심리' 로 보는게 맞을까요?

요즘 유튜브, 개인 SNS에 악의적인 댓글을 다는사람이 많은데요

익명성에 가려져 욕을 서슴치 않게 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악성 댓글을 다는 행위가 군중심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군중심리도 한몫합니다.

    사람들은 칭찬보다 흉 보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악성댓글은 그 진위가 무엇이든 문제가 심각합니다.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너무 심한 악성댓글은 스스로 자중하여 삼가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악플 즉 악성 댓글을 쓰는 사람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일은 당하는 사람은 그로 인해 죽음을 생각할 수도 있을 정도로 심각한 행위입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익명성을 앞세워 악성 댓글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연예인들처럼 사회적 공인에 대한 악플이 많았으나 요즘은 그 피해 대상이 일반인에까지 퍼져 있습니다.

    이렇게 온라인에서 불특정 다수가 일부의 사람을 괴롭히는 것을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이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사이버 불링' 현상이 '군중심리'로부터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군중심리는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하는 선택을 따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악플의 경우만 해도 사실 확인 없이 동조하는 경우가 많기에 '군중심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다른 사람의 댓글을 보았을 때 악플이 많다면 일종의 군중심리로 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음에도 상대방을 깎아내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악플을 다는 행위라면 이는 '크랩 멘털리티 효과'로 보는 게 맞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