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영리한부엉이180
영리한부엉이18021.11.30

유통기한 지난약 먹어도되나요?

처방받은약이 유통기한 지났어요

처방전도 다시 받으면 돈이 들잖아요 그래서 그냥 먹으려고하는데 약 종류마다 유통기한이 다르다고 해서 혹시 먿어도 되나 싶어서 아하에 물어보게됐숨미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

    -

    * 의약품의 경우 '사용기한' 으로 표현하시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기한은 최초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효능이 보장되는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유산지나 비닐 등 한 포씩 뜯어서 복용할 수 있도록 재포장 과정을 거쳐 조제 받으신 경우

    조제일로부터 3-6개월 가량을 사용기한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최초 출고 상태의 원형 그대로 조제 받으신 경우 용기에 기재된 날짜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기한을 이미 지나버린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로 약효 측면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부산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겉보기에 멀쩡해보여 폐기하는 것이 다소 아까우시더라도

    새로 처방 받아 복용하시거나, 일반의약품인 경우 약국에서 새로 구매하시어 복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안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알약 통을 원통으로 받았을 시

    (개봉 시점부터 1년이내)

    2. 알약 원통을 다른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 알약의 경우

    (6개월 이내)

    3.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타 낱개 포장인 경우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4. 원래의 시럽제(물약)을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개봉후 28일 이내)

    5. 한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을 맞춰 덜어서 조제해준경우

    (14~28일 이내)

    6. 투약병에 두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14일 이내)

    7. 건조시럽제(가루형태, 주로 항생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경우

    (14일 이내)

    (하지만 항생제마다 물을 타고나서부터 유효기간이 줄어드는데, 종류마다 다르다 7일인 것도 있음)

    (오구멘틴시럽은 냉장보관으로 7일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은 상온에서 15일까지)

    8.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60일 이내)

    9.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으면

    (6개월 이내, 뚜껑 잘닫아야함)

    10.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30일 이내)

    11.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30일이내, but 가루약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도 있다)

    12.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

    (개봉 후 28일 이내, 보존제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함)

    13. 1회용 사용안약은 보존제가 없으므로 사용후 바로 폐기

    14. IV(정맥주사), 주사제, bag 은 개봉후 1시간 내에 투여해야한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약품을 복용하면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급적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약품 폐기함에 버리시거나 약국에 가져오시면 폐기할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약이 변질될 수 있어 약효에 문제가 생기거나 부작용 등에 노출될 수 있어 주의하셔야 하며 특정 약은 보관 방법에 따라 유통기한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하시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드시면 안됩니다. 일단 효과가 떨어지고 안전하지 않습니다.

    2. 처방전으로 조제한 약은 조제한날로부터 6개월까지만 보관하시고 넘기면 폐기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유효기한이 지난 약의 경우 가능하면 폐기하는 것이 좋으며, 성분이 변질되어 혹시모를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정말 급한 상황이고, 외관에 문제가 없다면 한번정도 먹어도 상관 없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인배 약사입니다.

    처방받으신 즉 조제하여 가신 약의 경우 유통기한을 3~6개월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이 지날 경우에는 약이 아까우시더라도 버리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는 약에 어떠한 변성이 일어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가까운 약국이나 보건소에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면 됨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사용기한이 지난 의약품은 안전하지 않으므로 복용하지 말고 버리셔야합니다. 사용기한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성상이 변했다면 복용하지마세요. 약국에 갖다주셔도 되고 일반쓰레기를 소각하는 지역이라면 일반쓰레기봉투에 버리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처방받은약이 유통기한 지났어요 처방전도 다시 받으면 돈이 들잖아요 그래서 그냥 먹으려고하는데 약 종류마다 유통기한이 다르다고 해서 혹시 먿어도 되나 싶어서 아하에 물어보게됐숨미다~~~

    ----------------------------------------------------------------

    - 처방받은 약이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폐기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처방받은 약의 경우 약 원통 그대로 받은 경우 개봉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이며 PTP와 같이 낱개포장으로 경우 포장재 겉면에 표시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알약이 개봉되어 조제된 상태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습기와 빛에 노출되어 약효저하 및 변질이 일어날 수 있기에 조제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물약의 경우는 팩포장의 개봉되지 않은 제품은 제품 포장지에 기재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하며 약국에서 덜어서 받아온 개봉된 제품은 처방일로 부터 한달 유효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고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영 약사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셔야 합니다.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약효 또한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될 수 있으면 가까운 병원에 가셔서 진료받으신 뒤에 처방 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면 드시지 않고 폐기처분하시는것을 권장합니다.

    개봉여부를 떠나서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약효나 안전성측면에서 보장을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약에 표시된 유효기간은 약의 효과가 90% 정도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효기한 이후의 제품은 제품의 변질이라든지 효능의 저하라든지 안전성과 그 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시면 복용하지 마시고 폐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은 생명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아깝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폐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약의 폐기는 가능하시면 근처 약국이나 보건소로 가져다주시면 폐기해드리므로 방문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온통 그대로 혹은 PTP로 처방 받은 경우 : 약포장에 있는 유효기간까지

    비닐포장으로 처방 받은 경우 : 6개월 이내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당연히 버리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