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길이빛나
길이빛나24.04.24

벌레나 곤충들은 겨울을 어떻게 보낼까요??

봄이되고 날이 따뜻해지면

벌레나 곤충들이 집이나 밖에

자주 보이게 되잖아요??

그런데 그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디고 살아남았을까요??

사람의 경우는 영하 20도에서 밖에 하루종일 있으라고 하면 저체온증으로 죽을수도 있잖아요.

벌레나 곤충이 날이 따뜩해지기만 하면

등장하는게 신기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로 땅속이나 나무껍질사이를 파고들어 차가운바람을 피하고,

    알이나 번데기형태로 지내다가 날이 따듯해지면 부화하여 활동을 시작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벌레나 곤충들은 추운 겨울을 다양한 방식으로 견딥니다. 일부는 동면을 하여 겨울을 납니다. 동면 중에는 대사 활동이 현저히 줄어들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합니다. 또 다른 일부는 번데기나 알 상태로 겨울을 지내며, 이 시기에는 생명 활동이 거의 정지된 채 견딥니다. 반면 성체 상태로 겨울을 나는 곤충도 있는데, 이들은 동굴이나 나무 구멍 속에 모여 집단적으로 월동합니다. 또 혈액 내 당분 함량을 높여 동결을 방지하거나, 체내에 독특한 단백질을 생성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등의 전략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과 기타 작은 유기체가 어떻게 겨울의 혹독한 조건에서 살아남아 봄이 오면 나타나는지 정말 놀랍습니다. 곤충이 추위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용하는 몇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면 또는 휴면 상태: 많은 곤충이 겨울철에 동면 또는 휴면이라는 휴면 상태에 들어갑니다. 이 상태에서는 대사 활동이 느려지므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제한된 자원으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일부 곤충은 나무껍질 아래, 토양 내부 또는 영하의 온도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틈새와 같은 보호된 장소에서 피난처를 찾습니다.

    2. 부동액 화합물: 일부 곤충은 부동액 역할을 하는 특수 화합물을 생성하여 영하의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 화합물은 체액의 어는점을 낮추어 얼음 결정이 형성되어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합니다.

    3. 과냉각: 곤충은 실제로 얼지 않고 체액의 어는점 아래로 체온을 낮추는 과냉각이라는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서리 피해를 입지 않고 극심한 추위에서 짧은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4. 이동: 제왕나비와 같은 특정 곤충은 추운 날씨를 피하기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합니다. 봄에 번식지로 돌아갈 때까지 생존에 적합한 조건을 찾을 수 있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5. 알 또는 애벌레 단계: 일부 곤충은 알 또는 애벌레 단계에서 겨울을 나는데, 이 단계에서는 성체 단계에 비해 추위로부터 더 잘 보호됩니다. 봄에 기온이 좋아지면 부화하거나 변태를 겪을 수 있습니다.

    곤충은 실제로 추운 기온에 회복력이 있지만, 극한의 추위에 장기간 노출되면 여전히 많은 종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생존 전략을 사용하는 능력 덕분에 겨울 조건을 견디고 날씨가 다시 따뜻해지면 번성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벌레나 곤충들은 겨울을 보내는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는 겨울잠을 자거나, 항온 동굴에 모여서 지내는 방법, 남쪽으로 이동하여 따뜻한 곳을 찾는 방법, 그리고 몸을 변화시켜 겨울에 적응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전략들이 있으며,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겨울을 보내는 곤충들은 봄이 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하여 자연의 순환에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