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금융 관련 신조어가 있을까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금융 관련 신조어가 있을까요? 경젱하 금융 공부차원에서 차근차근 알아가려고 하는데 좋은 용어나 이슈용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태조이방원 - 태양광, 조선, 이차전지, 방산, 원전
이러한 언어도 유행이었으며
NFT, P2E 이러한 것들도 이슈화도 되었으며 경제 관련
신조어에 속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금융관련 신조어는 자이낸스가 있습니다. 자이낸스(Zinance)는 'Z세대'와 '금융(finance)'을 결합해 만든 신조어입니다. 모바일 플랫폼에 익숙한 Z세대의 차별화된 금융활동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Z세대는 최근 금융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코노미족이란 혼자만의 소비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로 혼밥, 혼술, 혼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벼락거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 및 주식시장 활황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헤지(헷지, Hedge) :
투자에서 헷지는 미래에 발생할 가격변동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안전장치. 투자에서 미래에 발생할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다른자산에 투자하여 가격변동을 완화시킨다는 뜻.
쉽게말해 헤지는 분산투자의 기본 개념으로, 각기 다른 성향의 자산에 투자해서 위험을 분산하는 것.
ex) 주식시장의 리스크가 걱정될 때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헤지, 화폐가치가 떨어질 때 금에 투자하는 금헤지, 원화의 가치가 떨어질 때 다른나라의 화폐에 투자하는 화폐헤지 등
IPO(Intial Public Offering) :
기업이 일정 목적을 가지고 자사의 주식과 경영내용을 공개하는 것.(기업이 주식시장에 공식적으로 상장한다)
일정 규모의 기업이 상장절차 등을 밟기 위해서 행하는 외부 투자자들에 대한 첫 주식공매.
- 왜 공개라고 하나?
: 상장기업이 되려면 회계정보, 기업내부정보 등을 공시해야 하기 때문.
-> IPO를 마친 기업은 코스피, 코스닥 등의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하게 됨.
- IPO를 하는 이유?
: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해서. 보통 IPO는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면서 진행하기 때문.
역환율 전쟁(Reverse Currency War) :
자국의 통화가치를 높이려는 움직임. 세계 각국이 자국의 통화가치를 지키고자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이에 해당됨.
- 자국의 통화가치가 하락하면(환율이 상승하면)?
① 더 많은 돈을 내고 수입을 해야하므로, 물가가 오르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심화됨.
② 달러 유출을 유발함. 투자자들이 안전한 달러로 이동하기에 달러가 유출되며, 달러유출은 환율은 더 상승하게 됨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자이언트 스텝이나 빅 스텝 같은 금리 인상 관련 용어(* 금리 인하 기에 들어가게 되면 반대로 '자이언트 컷', '빅 컷' 등의 용어가 유행할 것입니다.), 떡락 & 떡상 등 재미 요소를 가미한 용어 등이 대표적으로 존재한다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