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늘씬한하운드281
늘씬한하운드281

[회로이론] 다음과 같은 회로들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회로관련 질문입니다. 전류원과 저항을 직렬로 둔 회로 또는 전압원과 저항을 병렬로 둔 회로를 실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류원과 저항을 직렬로 둔 회로는 전류원 자체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주요 특성인데, 저항이 직렬로 있으면 전류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전압 강하만 발생합니다. 이는 전류원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전압원과 저항을 병렬로 둔 회로는 전압원이 일정한 전압을 제공함으로 저항이 병렬로 추가되어도 전압이 변동하지 않으며 단순히 전력 소모만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전압원 효율을 떨어뜨리고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회로들은 실제 시스템 설계에서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류원과 저항을 직렬로 두는 회로는 직류와 저항이 변하지 않는 이상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류원이 이상적이지 않아 실제 회로에서는 일정한 전류를 유지하기 어렵고, 전류원의 출력에 의존하게 됩니다. 또한 전압원과 저항을 병렬로 두는 회로의 경우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상황이 많아서 원하는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구성은 주로 이론적 분석에서 사용되며, 실용적인 회로 설계에서는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회로 구성이 선호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실제적으로 전류원과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거나 전압원과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는 회로는 제어 및 안정성 문제로 인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전류원과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은

    부하의 임피던스가 변화할때 전류와 전압이

    불안정하게 변동될수있거든요.

    전압원과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필요한 전류보다 더 전류가 많이 흘러서

    서비되는 전력량이 더 많아져요.

    부하의 저항값이 변동되면

    병렬저항에 연결된 전류도

    바뀌어서 회로 전체의 작동이 불안정해질수있죠.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를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으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이렇게 전류원의 직렬저항보단 병렬저항이 효율적이기에 실제 회로구성에서는 활용하지 않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