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정을 갈구하면서 일부러 큰소리내며 징징거리는 아이에게 올바른 훈육법 공유해줘요
둘째아이인데, 관종이라 스스로 지칭하면서
과하게 행동해요
그런 행동이 발랄하다고 느낄때는 적고
진짜 왜 이럴까? 깊은 고민을 하게해요
징징거리면서 말하는것도 듣기싫고
분명 자기행동이 잘못됐다는것을 알지만
끝까지 연기하면서 징징거려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입니다. - 아이들의 고집은 보통 생후 3-4개월부터 생기기 시작하여 3-4살 경에 - 고집이 최고조에 이른다고 합니다. 미운세살이라는 말이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아이들은 익숙치 않은 일을 하는 모습을 부모가 모면 하지 말라고 할때 생떼를 부리곤 합니다. - 이럴때 부모의 대처가 가장 중요합니다. - 훈육을 할때 단호하게 이야기하되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설명을 길게 - 하거나 과도하게 화내기보다는 그렇게 행동하면 안된다고 말하는 정도가 적당합니다. 다만 부모가 - 훈육시 불안해하거나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이게 되면 다시 고집을 부릴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조승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음이 허전한 것이지요. - 부모님께서 미소지으면서 안아주신 후에 조용조용 이야기 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주신다면, 좋아집니다. - 왠만한 대화로는 소통이 안 되고 존중받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아이가 마음이 많이 아픈 증상이니 부모님께서도 힘들겠지만 안아주시면서 부모님도 같이 정을 느끼면서 치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판단하지 마시고 아이의 입장에서 무엇도 가능하고 또 그럴 수 밖에 없음을 이해해주신 뒤에 하지만 그렇게 행동하면 너의 행복이 사랑하는 부모로서 걱정이 됨을 표현해주세요. - 진실한 사랑을 주시면 해결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현재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몰라 맞춤의 답을 드리는 어려울듯합니다. - 아이의 나이의 발달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있어 보편적인 답을 드리니 참고바랍니다. - 먼저 아이가 스스로 관종이라고 한다면 아이는 자기 스스로 - 내가 애정이 필요해도 나도 좀 봐주세요 - 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 오히려 이런 상태가 건강하고 개선의 요지가 있는상태입니다. - 이 시기가 지나면 아이는 이런 이야기도 안하고 무뚝뚞하게 받아들일겁니다. - 이떄는 아이의 말대로 조금더 지지해주고 많이 보다듬어주세요 - 혼을 내는것보다는 지금은 좀더 안아주시고 그 행동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좋습니다. - 예를들어 A라는 일에 사고를 쳤는데 - 바로 A라는 것에 대해 잘못됨을 훈육하는것이 아니라 - A를 하고 싶었는데 잘 안되어서 속상하겠네. 라고 먼저 - 아이의 감정을 어루만져주세요 - 아이도 스스로 이것이 잘못되었다면 그것의 미안함과 잘못됨을 알기에 훈육보다는지금은 조금 - 감정을 어루만지는게 필요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