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23.06.28

초고령사회의 기준이 어떻게 되고 누가 정한 것인가요?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들어선지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머지않아 초고령사회가 될것이다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노인이 얼마나 있아야 초고령사회라고 할 수 있나요?

초고령사회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8

    안녕하세요. 조그만물총새32입니다.

    웝툰조아! 고령사회와 초고령사회의 구분 기준은 상황과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초고령사회라고 말하는 경우,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의 비율이 국가 전체 인구에서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를 가리킵니다. 그러나 정확한 기준은 각 나라나 기관의 정책이나 연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일 때 사용됩니다. 그리고 '초고령화 사회'는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 이상일 때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비율 기준은 정부나 연구 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니, 기준을 제시하는 정확한 기관이나 연구 결과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비율 기준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인구 통계 및 고령화 경향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고려됩니다.


    따라서, 초고령사회라고 말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은 다양하게 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시면 좋겠습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 현상이기 때문에, 고령화에 대한 대응과정을 관리하고 적절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산뜻한코끼리228입니다.

    초고령사회는 통상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UN에서 정한 기준으로 볼때 '노인'이란 65세 이상을 말하며 UN의 기준에 따르면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는 다음과 같다.


    ·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

    · 고령사회(aged society):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

    ·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를 넘어서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2017년에 노인인구 14.2%를 기록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그리고 2026년경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