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Jy천사1004
Jy천사100422.11.25

아이들 수학교육은 몇년선행?.

안녕하세요 아이들 수학교육을 시키는데 다들 몇년 선행을 목표로하시나요 요즘 인서울대학갈려면 중학교때 고등수학은 다 끝내놔야한다던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교육에 있어서는 가정의 교육관에 맞추어서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스스로 느끼기에 교육이 필요하고 선행을 해야할것같으면 그렇게 해주셔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교육관 및 아이의 학습 수준에 ㄸ라 다를꺼 같은데요 저희 아이는 1년 선행 정도로만 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은 선행은 아이의 학습을 오히려 저해 할꺼 같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선행 교육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선행교육으로 아이가 학교에서

    우수한 학생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학교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부모의 욕심으로 아이에게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수학은 기본 개념을 이해 하지 못하면, 소위 말하는 수포자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수업 시간 내내 힘들고 따분하고, 고통스러울 겁니다.

    중학교 때 수학1,2, 미적분, 등을 두 세 번씩 하고 올라간 아이들도 상위권에 들어가기 힘들 정도입니다.

    다른 과목 보다는 특히나 수학은 선행이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수학 성적은 선행보다도, 문제해결력이 결정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사교육이나 선행교육 대신,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연습을 길러주는 것은 어떤가요?

    과도한 선행학습이 되려,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과하게 선행을 하면 아이가 오히려

    현재 나이의 과정을 잘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아이의 수준에 맞추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론 공부에 재능이 있고

    어느정도 잘 따라가면 그렇게 선행학습을 하는 것이 좋지만

    그것도 아이의 수준에 맞춰서 진행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수학교육과 같은 경우에는

    인문계열의 최상위권 학생들은 1년반에서 2년

    자연계열의 최상위권 학생들은 2년에서 2년 반 정도

    선행 교육을 하는 사례가 많으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5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자기 학년의 심화 개념까지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선행학습으로 무조건 진도만 빼면 안 됩니다. 초5인데 중 2학년 문제를 푼다고 만족할 일이 아닙니다. 실제 중 2가 됐을 때 또래 학년 80%가 다 맞추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런 문제를 미리 푼다고 해당 학년이 됐을 때 수학 성적이 높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킬러 문항을 맞출 수 있게 자기 학년부터 기본실력을 다져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