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든든한스컹크168
든든한스컹크16823.08.02

공산주의가 원래 좋은뜻인가요???

저는 보통 공산주의 하면은 부정적인 생각이 들었는데

공산주의의 원래 목적은 사유재산을 없애고 빈부격차를 없애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 이렇게 돈으로 계급이 나뉘어지는 세상을 없애고

모두가 평등하게 잘 먹고 잘 살자는 뜻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원래 공산주의가

이렇게 좋은뜻을 가지고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공산주의는

    이론적으로는 사유재산제도의 부정과 공유재산제도의 실현으로 빈부의 차를 없애려는 사상이 맞습니다만

    인간의 본성을 꺠닫지 못하며 실패한 사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공산주의의 이념은 그러한데, 결국 특정 독재자를 만들게 되고(ex. 김정은, 니콜라스 마두로 등) 이 소수의 독재 세력만 잘 먹고 잘 사는 체제가 된다는 점, 인간 본성에 반하는 부분이 많다는 점에서 실패한 경제 제도로써 답습해서는 안되는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의 한 형태로, 사회적 자산을 공유하고, 생산수단이 근로자들의 소유로 넘어가며, 경제적 평등과 노동자 계급의 지배를 강조하는 이념과 체제를 의미합니다.

    공산주의의 핵심 목표는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경제적, 사회적 평등을 확립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개인적 소유보다는 공동 소유와 공유 경제를 지지하며, 노동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강화합니다.

    이 이념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유럽의 사회적 운동과 철학적 사상들에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으며, 특히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에밀 렌게, 올가 우안들과 같은 사상가들의 기여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구현과 역사적 사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공산주의 체제가 시도되었으며, 각각 다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현재도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를 수용하거나 실천하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시도들이 이론적인 공산주의 이상과 현실 사회 구현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산주의는 초기에는 사회적 평등과 노동자들의 권리를 강조하는 사상과 이념을 가진 사회주의적 움직임이었습니다. 자본주의적인 경제 시스템의 부정적인 면과 불평등을 해결하고, 노동자들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며 경제적 평등을 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초기 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를 통해 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 인류의 발전을 위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흘러가면서 공산주의가 다양한 이유로 다른 형태로 구현되고, 많은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산주의는 논란이 많은 이념이며, 각 국가와 문화에 따라 해석과 구현이 크게 다르게 이루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