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마시면 왜 잠이 덜 오는 걸까요?
카페인은 뇌에 어떤 생리적 작용을 일으켜 졸음을 쫓는지,
그리고 사람마다 카페인에 대한 반응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유전적 영향도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구조가 유사하여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것으로 인해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해 졸음 유발을 쫓습니다. 또한 각성신경 전달물질을 분비하여 잠을깨는데 도움을 줍니다. 사람마다 이 정도가 다르고 카페인의 대사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카페인에 대한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우리 몸에서 졸음을 유발하는 아데노신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해서 졸리게 만드는데, 아데노신과 구조가 유사한 카페인은 아데노신 대신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해서 졸리지 않게 만들고 각성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카페인에 대한 반응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유전적인 요인이나 나이 차이에 따라서도 카페인에 대한 반응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평소에 카페인을 얼마나 많이 그리고 자주 복용하는지에 따라서도 카페인 민감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뇌에서 졸음을 유도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졸음을 억제하고, 집중력을 올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사람마다 카페인에 대한 반응이 다른 이유는유산적 영항이 매우 크며, 간의 CYP1A2 효소 활성도 차이에 따라 다르게 되며, 아데노신 수용체의 민감도가 사람마다 다르기에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길 바래요
감사드려요.^^항상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각성효과를 나타내며, 그로 인해 일시적으로 졸음을 쫓고 피로회복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을 대사하는 효소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카페인은 내성이나 의존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고함량의 카페인을 자주 섭취하는 사람이라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카페인의 효과가 적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각성효과를 나타내겠습니다. 신경전달물질인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단하겠습니다.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며, 자주 복용한다면 민감도가 떨어지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카페인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작용을 합니다. 각성도와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졸음을 유발하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담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겠습니다.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 차이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