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병을 재활용하면 암에 걸리나요?
일반 플라스틱은 재사용을 하는데(김치통 같은거) 왜 생수병은 재활용을 하면 암에 걸리는지
사실 이해가 잘 가질 않습니다.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의 경우 바닥에 플라스틱의 종류가 표시되어 있는데요.
표시를 잘 확인해서 용도에 맞게 잘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플라스틱은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PHT, HDPE, PP : 재활용이 비교적 용이해요.
PVC, PS : 환경에 유해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해요.
*PET/PETE(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음료수 병, 식품용기 사용, 재활용이 가능하여 섬유나 새로운 용기 제조에 활용.(PET는 음료수병, 식품포장, 의약품 용기 등 사용)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 우유병, 세제용기, 장난감, 배관 등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우수, 재활용 용이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재생산.
*PVC/V(폴리염화비닐) : 유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배관, 전선피복, 식품포장 등 사용, 제조과장 ㅇ해물질 발생, 재활용 어렵고 환경에 유해.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 유연하고 투명한 재질, 비닐봉지, 랩, 다양한 포장재로 많이 활용, 재활용 어려움.
*PP(폴리프로필렌) : 내열성이 뛰어남, 강도가 높은 재질, 식품용기, 일회용 컵,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전자레인지 용기 적합, 재활용 가능 다양한 제품으로 재생산.
*PS(폴리스티렌) : 가볍고 단열성 뛰어남, 식품포장, 일회용컵, 접시, 내열성 낮아 전자레인지 사용시 주의, 재활용 어렵고, 환경에 유해.
말씀하신대로 생수병은 일회용으로 인간의 건강에 호흡기, 내분기계, 호르몬 등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특히 생수병의 경우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되기 때문에 한번 열면 모두 마시는 것이 좋다고 해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일반 플라스틱 용기는 주로로 PP(폴리프로필렌)나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재질로 만들어집니다.
생수병은 주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지며, 이는 일회용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생수병은 일회용으로 만들어져 재사용 시 물리적 변형이 쉽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유해물질이 배출될수 있습니다.
생수병을 재사용하면 스타이렌과 같은 독성 화학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증가하며,
이는 식도암, 췌장암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생수병에 뜨거운 물을 담는등 구조가 변형되어 유해물질이 노출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