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1.12.03

자율신경, 심장하고 연관이 있나요??

공포나 긴장하거나 불안해하거나

깜짝 놀랄 경우를 경험해 보니까 심장이 두근두근

뛰었던 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처럼 심장이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을 수도 있는지요???

감사하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심장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자율신경은 크게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로 길항으로 작용하며 교감신경이 활성화 되는 경우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는 경우 심장박동이 느려집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교감신경은 급박하고 긴장될 때, 부교감신경은 편안하고 휴식할 때 활성화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05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자율신경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해 신체가 반응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무서운것을 보았을때 도망칠 준비를 하도록 근육에 혈류가 증가하고 손발에 혈류가 줄어들고 심박수가 증가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 당연히 연관이 있습니다. 우리의 몸의 모든 반응은 신경계에 의해서 지배를 받습니다. 깜짝 놀라거나 스트레스 등을 받는 상황에서는 자연스럽게 자율신경의 투쟁 도피 반응의 영향으로 심장이 두근두근 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지배를 받을 수 있다는게 애매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만, 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이 있고 이들이 심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상황에서 교감신경이 흥분하여 심박동에 영향을 주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우 의사입니다.

    타과의사지만 간단한 것이라서 답변 드립니다.

    심장 뿐 아니라 우리 몸의 장기는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는데 교감신경은 파이팅 신경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긴장하고 싸울 때를 생각하시면 그 때 몸에서 나타나는 반응이 있겠죠? 그게 교감신경이 작용하는 것이고 부교감은 그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어려운 자리에서 식사하면 소화가 잘 안될 때가 있죠? 그게 자율신경 (교감신경)이 작용해서 그런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