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4.01.08

노새는 왜 새끼를 가질 수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말과 당나귀가 교배하면 노새가 나오잖아요.

다른 종이라도 노새라는 결과물이 나왔는데 왜 노새는 새끼를 가질 수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새는 당나귀와 말이 교배해서 탄생합니다.

    말은 64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당나귀는 62개의 염색체를 가집니다.

    새끼는 63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

    생식과정에서 정상적인 세포 분열을 하려면 염색체가 쌍을 이뤄야 합니다.

    하지만, 노새는 63개의 홀수인 염색체를 가지므로, 정상적인 세포 분열을 할 수 없습니다.

    차라서 생식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말과 당나귀가 교배하여 노새를 낳을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노새 자체가 번식할 수 없는 이유는 유전학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말과 당나귀는 서로 다른 종입니다. 말은 64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당나귀는 62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종이 교배하여 노새를 낳을 때, 노새는 63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

    이 염색체 수는 홀수이므로, 노새의 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가 균등하게 나눠지지 않습니다. 이는 노새의 생식세포인 난자나 정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노새는 불임이며, 자식을 낳을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새들은 모두 성염색체의 불균형에의해 감수분열을 하지못해 교배가 불가능하다고합니다.

    그 이유는 당나귀와 말의 염색체갯수가 다르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말과 당나귀는 서로 유전자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노새는 부모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유전적인 문제로 인해 노새는 번식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며, 거의 새끼를 가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새는 말과 당나귀의 염색체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염색체 수가 짝수로 맞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세포분열을 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노새는 생식세포를 형성하지 못하고, 노새끼리는 불임이고 다른 종과의 교배도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당나귀와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잡종 분류에서 수컷 당나귀와 암컷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이종 교배종을 의미한다. 말과 당나귀의 장단점이 모두 있지만 잡종강세(heterosis)의 특성이 강한 대표적인 경우다.


    노새와 반대로 암컷 당나귀와 수컷 말이 교배하여 태어난 동물을 '버새(Hinny)'라고 부른다. 노새는 당나귀와 말의 중간 크기 수준인데 반해 버새는 거의 새끼 당나귀 수준이다. 노동력도 노새보다 떨어져 사람들도 잘 찾지 않는다. 게다가 염색체 수 차이로 불임이라 번식도 못한다.


    2. 번식 관련

    잡종 2대는 생기지 않는다. 즉 노새의 새끼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 말의 염색체 수(64개)와 당나귀의 염색체 수(62개)가 다르기 때문에, 1대 잡종인 노새의 염색체 수는 63개. 즉 상동염색체의 짝이 맞지 않은 상태이므로 생식을 위한 감수분열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연계에서는 수컷보다 암컷의 번식력이 강하여, 암노새는 아주 드물게 말이나 당나귀의 씨를 받아 새끼를 낳기도 하지만 수노새는 암노새도 암말도 암탕나귀도 임신시킬 수 없다. 따라서 노새는 생물학적 종이 아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당나귀와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잡종 분류에서 수컷 당나귀와 암컷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이종 교배종을 의미한다. 말과 당나귀의 장단점이 모두 있지만 잡종강세(heterosis)의 특성이 강한 대표적인 경우다. 잡종 2대는 생기지 않는다. 즉 노새의 새끼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 말의 염색체 수(64개)와 당나귀의 염색체 수(62개)가 다르기 때문에, 1대 잡종인 노새의 염색체 수는 63개. 즉 상동염색체의 짝이 맞지 않은 상태이므로 생식을 위한 감수분열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출처 : 나무위키 - 노새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8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새는 체세포분열을 하지만 생식세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나지 않아 생식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