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2.21

다른 동물과 교배로 태어난 동물은 왜 대를 이어 종족번식에 성공하지 못하나요?

호랑이와 사자가 교배해 태어난 라이거, 타이곤 그리고 말과 당나귀가 교배해 태어난 노새는 이후에 라이거 2세, 노새 2세를 출산하고 대를 잇지 못하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의 정의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다른 종과는 서로 생식적으로 격리된 생물의 집단이며, 다른 종과는 구별이 되는 생물입니다. 간혹 이종교배를 해도 새끼가 태어나는 경우도 있으나, 태어난 개체는 열성이기 때문에 불임인 경우가 많아서 새끼를 낳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라이거와 노새의 경우 대를 이어 종족번식에 실패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라이거와 노새는 서로 다른 종의 동물이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새로운 생물을 낳는 데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라이거와 노새는 서로 다른 생태계에서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를 찾아낼 수 있는 기회가 적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교배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종족번식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라이거와 노새는 서로 다른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라이거와 노새는 종족번식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내 어머니 말과 아버지 당나귀는 종이 다르다. 피부색이 다르다거나 사는 대륙이 다른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일이다. 부모님은 나에게 모든 좋은 점들을 모두 물려 주었지만 새끼를 낳을 수 있는 능력만은 주지 못했다. 당나귀의 정자는 31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말의 난자는 32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당나귀와 말 사이에 태어난 노새는 63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샘이다. 이때 노새는 성체로 발달 할 수 있는 체세포 분열에는 문제가 없지만, 유성생식을 하는 진핵생물(세포에 막으로 싸인 핵을 가진 생물)에서 생식세포를 형성하는 과정인 감수분열이 일어나지 않아 생식이 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