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8.16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수요가 줄어드는것이 수요 법칙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에 반해 특히, 명품의 경우는 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오히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수요가 줄어드는것이 수요 법칙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에 반해 특히, 명품의 경우는 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오히려 수요가 더 증가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품 가격의 경우에는 오히려 가격이 상승할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런 것을 백로효과 혹은 베를렌 효과라고 부르고 있어요. 이러한 제품들은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오히려 구입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지게 되면서 남들보다 더 나은 사람이라는 과시욕을 보일 수 있어서 오히려 부자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격차가 60배정도 난다고 합니다

    일반인들은 꿈도 못꿀 소비품목이 상위부자들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금액의 소비죠

    차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얼마짜리다 어떤시리즈다 라는 것만으로 그냥 사는것은 그냥 자랑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8.17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재화의 경우 수요에 탄력적이나, 귀금속 사치품 등 특정재화는 비탄력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품 브랜드는 한정된 공급량을 유지하고, 제한된 수량만을 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면 제품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가격이 오르더라도 수요가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정된 수량에 한정된 수요가 명품시장이라고 보는데 공급처가 지속적으로 가격인하없이 꾸준히 가격을 올리니 수요자가 하루라도 먼저사는게 싸게 사는거다라는 마인드가 생긴거 같습니당!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로 인하여 그럴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명품은 해당 물건을 소유하고 있을 때에

    인간의 허영심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품 제품은 높은 가격과 특별한 이미지로 인해 높은 사회적 지위나 성취를 상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명품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을 더 특별하거나 고급스러운 존재로 느끼고자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이 오르면 이러한 제품의 희소성과 고유성을 더욱 강조하며, 이로 인해 명품 제품에 대한 욕구와 수요가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품 제조사들은 높은 가격을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유성과 품질을 강조하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가치를 더욱 크게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