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물부족 국가는 어느이느 나라인가요?우리나라처럼 수자윈개발이나 시설 댐건설등이 잘도있는 나라도 있겠지만 전세겨적으론 물부족이심각한데요 어느어느 나라가 더 무라뭄에 취약?
물 부족 국가는 어느 어느 국가가 있을끼요 그나라들은 상수도를 어떻게 개발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저희나라에서 도움줄수 있는 방법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한때 우리나라는 UN 에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물부족 국가이기 때문에 물을 절약해야 한다는 것을 캠페인처럼 벌였던 적이 있습니다.
사실 이는 엄밀히 따져보면 UN 하고는 상관없는 민간단체의 통계를 바탕으로 언론플레이를 한 것 이었습니다. PAI 라는 국제인구행동연구소라는 곳의 통계로 지역별 강수량을 인구밀도로 나눈 값으로 물부족국가를 판단하였던 것 입니다. 한국은 밀도대비 강수량이 낮지만 계절별로 강수량의 차이가 클 뿐이지만 전체적인 강수량은 높은 편이고 인구밀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을 받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현재는 사용가능한 수자원의 양이 1000 m3 미만인 국가를 물부족구가로 분류하는데 아프리카나 중동 쪽 국가들이 많습니다. 소말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등 사막근처에 있는 국가들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해당국가에 무상으로 도움을 주는 방법은 사실 거의 없고 인도적인 차원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해당 국가들은 가용 수자원을 늘리기위해 바닷물을 식수로 만드는 해수 담수화 사업과 공기중의 수분을 포집하기 위한 방법등 국가적으로 노력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물부족 국가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바레인, 키프로스, 쿠웨이트, 레바논, 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이스라엘,이집트,이비아,예멘,이란, 요르단, 칠레.....등 이들 국가는 생활용수 및 농업 과 산업용수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공급이 부족하여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물 부족 국가들은 해수 담수화 시설을 구축하여 바닷물을 식수로 변환하고 있으며, 하수 처리수를 재이용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물 관리 기술과 인프라 경험을 가지고 있어 하수 처리 및 담수화 기술을 공유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 관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자본 투자 및 프로젝트 관리 노하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