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단호한발발이110
단호한발발이110

은행에서 예탁금과 적금을 들때 수수료 적용이 어떻게 되는지?

은행에 예금과 적금을 들때 금리과 같은 조건인데 1년후에. 이자가 다르게 나옵니다. 적금은 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은 예금과 다르게 납입 시점부터 이자가 붙는 것이기 때문에 만기 시 이자가 다릅니다.

      복리의 차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종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은 보통 큰 금액을 한번에 예치하고 일정기간 이후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합니다. 적금은 매달 일정금액(혹은 변동금액)을 입금하고 마찬가지로 만기 시 누적원금과 이자를 수령합니다. 만약 1년, 4% 짜리 예금에 120만원을 예치하였다면 1년 후 원금 120만원과 이자 4만8천원을 수령합니다. 하지만 똑같이 1년, 4% 짜리 적금에 매월 10만원씩을 예치한다면, 처음 납입한 10만원에 대해서는 1년치 이자율을 적용하지만 그 다음이체한 10만원에 대해서는 11/12 그 다음 10만원에는 10/12 ... 마지막달에 입금한 10만원에 대해서는 1년 이자 4%의 1/12 밖에 적용받지 못하는 것이죠. 그래서 차이가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적금의 경우에는 입금한 순서대로 이자를 지급하게 되고 예금의 경우에는 한번에 입금이 되기 때문에 1년 이자를 한번에 지급하게 됩니다. 은행은 예금과 적금에 대해서 별도의 수수료를 받는 것은 없으며 세금이 발생하지만 이는 은행의 수수료는 아닙니다.

      적금과 예금의 금리 차이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만기 원금 1,200만원 기준]

      • 예금 1,200만원 1년만기 5%이율시 만기 이자금액 - 600,000원

      • 적금 월납 100만원 (만기원금 1,200만원) 1년만기 5%이율시 - 325,000원
        -1월 1일 100만원 입금액 - 100만원 X 5% X 12/12
        -2월 1일 100만원 입금액 - 100만원 X 5% X 11/12
        -3월 1일 100만원 입금액 - 100만원 X 5% X 10/12
        -12월 1일 100만원 입금액 - 100만원 X 5% X 1/12
        즉 적금은 마지막에 입금된 100만원은 연간 5%가 아니라 1개월치의 이자만을 지급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매월마다의 이자를 합산하게 되어 지급하게 됩니다.

      적금보다 예금의 이자금액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적금의 이자계산 방법은 '은행에 자금이 예치되어 있던 기간'만큼 이자를 계산한 후 합산을 하기 때문에 예금이자금액보다는 적게 지급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목돈이 있으신 경우에는 예금을 하시고 조금씩 소액을 모아가시는 경우는 적금을 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은 1년을 가입하였을 떄, 첫달에는 모든기간의 이자가 붙으나

      점차 이자를 적용받는 기간이 줄어드는 등 하여 예금이자에 비하여

      줄어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적금 금리가 같아도 이자 다른건 진리입니다 적금은 일시불이라 1200만원 3프로 이자다 그럼 세전 36만원이져

      예금은 100만원 첫달은 12달 투자라 3만원이지만 다음달부터는 11달치 예금이자 그다음달은 10달치 예금이자가 나오니

      예적금 이자금액은 통일 액수 동일 금리라도 틀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