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허스키161
까칠한허스키161

한국사에서 광명 계발의 난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사에서 고려시대 파트에서 광명 계발의 난이라는 말이 나오던데 이게 도대체 뭔가요? 처음 들어보는 거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경상도 합주(陜州 :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에서 천민이 지방관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으킨 반란입니다.

    1170년(의종 24)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해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신분질서의 해이와 하극상의 풍조로 사회적 동요가 심했으며, 아울러 지방관의 탐학과 빈곤에 시달리던 농민·노예 등 하층민에 의한 반란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는데, 광명·계발의 난도 그 중의 하나였다.

    이 난이 일어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그 세력이 자못 강성하여 1200년(신종 3)진주에서 주리(州吏) 정방의(鄭方義)와 정창대(鄭昌大) 형제가 반란을 일으켜 평소에 원수진 사람들을 많이 죽이며 횡포를 부리자, 진주사람 20여 명이 정방의를 치고자 광명·계발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광명·계발은 이에 응하여 진주에 이르렀다가 오히려 정방의에게 크게 패하였다. 더구나 광명·계발의 본거지인 합주의 노올부곡(奴兀部曲)까지도 정방의에게 완전히 소탕당하고 말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명계발의 난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명계발의 난은 고려시대 경상도 합주에서 천민이 지방관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으킨 반란입니다.

    1170년 정중부 등에 의해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신분질서의 해이와 하극상의 풍조로 사회적 동요가 심했으며 아울러 지방관의 탐학과 빈곤에 시달리던 농민, 노예 등 하층민에 의한 반란이 전국적으로 일어나는데 광명, 계발의 난도 그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후기 무신정권시기의 신분제 동요중 하나의 사건입니다.

    대표적으로 1176년 망이 망소이의 난 / 1198년 만적의 난 / 1200년 광명 계발의 난 그리고 1202년의 이비 패좌의 난 등이 있겠네요.


  • 고려시대 경상도 합주(현 경남 합천)에서 천민이

    지방관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으킨 반란으로 일어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세력은 강성하였다고 합니다.

    이 난은 천민들이 일으킨 난으로,

    타 지역에까지 영향을 주어 지방 주리에 대항하는 민란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