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시대에는 남녀를 크게 차별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자의 권리가 남자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유교를 나라의 이념으로 받아들인 조선 시대에는 남자와 여자 간의 차이와 지켜야 할 도리를 강조하였고, 유교 질서가 굳어진 조선 후기로 갈수록 여성들의 지위는 크게 낮아져 이전과는 아주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일상생활에서 여성들은 남성과 비슷한 지위와 권리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아들과 딸이 번갈아 부모의 제사를 지내거나 아들이 없는 경우에는 딸이 제사를 맡아 지냈으며, 자식들이 모두 똑같이 부모의 재산을 물려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부모의 제사는 아들, 그중에서도 장남이 맡아 지내게 되면서 재산도 가장 많이 물려받게 되었고 딸은 시집 간 여자라고 하여 적게 받거나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여성들의 생활 속 규제는 더욱 심해졌습니다.
양반집 여성들은 외출을 자제해야 했지만 밖으로 나갈 일이 있을 때에는 장옷 등을 머리에 쓰고 얼굴을 가려야 했고, 가마를 탈 경우에는 남자들이 타던 평교자와 달리 지붕이 있고 사방이 막힌 옥교자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또한 여자는 남자와 대화를 할 때 얼굴을 마주해서는 안되었고 여성들은 남자일 경우 3촌 이내의 친척만 방문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 천재학습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