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입역노비와 납공노비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조선시대에 신분제도에서 노비도 여러종류가 있던데
그중에 입역노비와 납공노비도 있더라구요
입역노비와 납공노비는 각각 어떤 일을 하던 노비신분이며, 두 노비신분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납공노비는 매년 일정액의 신공을 바쳐야 했다
이들이 바치는 신공은 1408년(태종 8)에 추포(麤布)로서 노는 5필, 비는 4필로 규정하였다. 1425년(세종 7)에는 이를 대폭 삭감, 노는 정포(正布) 1필과 저화(楮貨) 2장, 비는 정포 1필과 저화 1장 또는 전(錢)으로 노는 100문(文), 비는 50문을 바치도록 하였다.
입역노비, 흔히 역졸(驛卒)이라고도 한다. 역노비는 삼국시대부터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문헌기록상 고려시대부터 나타나고 있다. 그 뒤 조선시대에 이르러 전운노비(轉運奴婢)와 급주노비(急走奴婢)로 나뉘어졌다. 전운노비는 역에서 사신의 복물(卜物:말에 실어 나르는 짐)이나 진상(進上)·공부(貢賦) 등의 관수품을 운반했고, 급주노비는 중국 송대의 체포제도(遞鋪制度)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역노비는 주인의 명에 따라 노동력을 바치는 노비, 납공노비는 1년에 정해진 액수의 현물을 바치는 노비로 납공노비는 주인집이 아니라 따로 주거지를 가지고 있었고 멀리 떨어진 다른 지방에 사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