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신통한왈라비87
신통한왈라비8721.04.18

종목을 보면 디파이가 있던데 디파이가 무엇일까요?

디파이에대한 용어 개념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 이건 기반이 정해진건가요 예를 들면 이더리움 기반이라던가 이런게 있는건지 같이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디파이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디파이란, 탈중앙화 금융으로 정부나 은행같은 중앙기관이 없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디파이 서비스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예치하면서 유동성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예치된 암호화폐로 스왑이나 다양한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이자를 지급하게 됩니다. 이는 현재의 은행에서대출/ 예금/ 적금과 같은 기능이라고 보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때문에 디파이 생테계에 직접 참여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공급자가 되는 것이며,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유동성 풀을 선택해야 됩니다. 유동성 풀의 예치기간, 이자율, 유동성풀의 지속 가능성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하여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파이코인의 종류에는 체인링크, 스와이프, 연파이낸스, 유니스왑, 저스트 등이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는 탈중앙화 금융의 약자로 정부나 은행같은 중앙기관이 없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대출해 주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디파이코인은 체인링크, 저스트, 스와이프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디파이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한 금융서비스를 말합니다.

    대출을 받거나 예치를 통해서 이자수익을 올릴수 있으며

    은행보다 더 높은 이율을 제공함으로써 각광받고있습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디파이(DeFi)란 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이라고 합니다.

    쉽게 보면 현재 은행 들이 하는 일을 은행이라는 기관이 아닌 탈중앙화로 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암호화폐를 담보로 현금을 대출을 받거나 암호화폐를 보유하면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하는 대출이나 적금, 예금 같은 것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몇달전에 디파이 때문에 논란이 많이 있었기는 합니다.

    연간 이자를 1000%, 10000%등 말도 안되는 이자를 제시하다보니 스켐이 아닌가 라는 말이 많이 있기는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음식이름으로된 디파이들이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A-HA 블록체인 전문가입니다.

    디파이의 의미를 아래와 같습니다.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사전적인 의미입니다.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디파이(DeFI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탈중앙화 금융 - 디파이(DeFI)

    DeFi는 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하거나 다른 암호화폐를 대출해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서비스입니다.

    1. 탈중앙화 금융은 암호화폐를 소지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금융자산 서비스로 일정금액을 구매하여 예치한다면 은행과 마찬가지로 일정량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비트코인 또한 예치하여 다른 암호화폐 또는 다른 자산으로 대출한다면 암호화폐 금융서비스라 할 수 있으며, 특정기관 또는 중앙기관이 아닌 분산된 시스템(프로토콜, 스마트 컨트랙트 등)에 의해 자산이 관리된다면 디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