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단짝 친구와의 관계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를 양육중입니다. 아이가 단짝 친구가 다른 친구와 더 친해져서 소외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도 그렇고 우리 어른들도 자기와 친했던 사람이 내가 아닌 다른 이와 더 관계가 가까워지고
친하게 지낸다면 이에 대한 부분의 있어서 감정의 조절과 받아들임에 있어서 힘들어 하는데요.
우선은 단짝친구가 왜 그 친구와 가까워질 수밖에 없었는가? 라는 부분 그리고 내가 혹시 이 친구에게 잘못된
행동과 언어로 친구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았나 부분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들은 관심사가 같거나, 집방향이 같을 경우 친해지기가 쉬워지는데요.
지금 우리 아이가 단짝친구와 공통의 관심사가 있는지, 집의 방향이 똑같은지 이 부분도 생각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물론 단짝친구도 중요하긴 하지만 단짝 친구 외에도 주위에는 다양한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좋은 방법 이라는 것을 아이의 이해를 도우며 적절한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소외되는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하지만 특정 친구와의 감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친구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다양한 관계를 유지 할 때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단짝 친구가 다른 친구와 더 친하게 지내면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단짝친구라 해서 한명하고만 친하게 지내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과의 교류도 가지면서 다양한 성격을 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짝 친구도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며 친해질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받아주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아이도 다른 친구들과도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지도해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단짝친구와 사이가 소원해져서 힘들다면 아이가 친구의 관심사에 더 적극적으로 다가가도록 유도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 관계는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시키세요. 친한 친구가 다른 친구와 어울린다고 해서 반드시 관계가 끝난 건 아니라는 점을 알려주세요. 또한 단짝 친구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