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가릭주니어
가릭주니어

노화역전기술가능성에대해궁금합니다

노화를 늦추는 기술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40년 뒤면 a라는 75세가 40세로 그40세가 좀 더 생활하다 20대수준으로 돌아갈수있는 실현가능성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초기에는 고비용이지만 조금만 시간지나면 보험이 적용되고 일반인도 누리고요

20-30년안에는 어려울수있지만 30년뒤면.잘하면.. 40년뒤면. 더 이상 허황된 이야기는 아닐수 있지 않을까 예성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40년 뒤라해도 말씀하신대로 이뤄지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재 과학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30~40년 후에는 노화 역행 기술이 어느정도 상용화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상당한 고비용이 예상되며 보험의 적용까지도 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대부분의 신기술이 그러하지만, 여러 가지 사회적, 윤리적 논의로 인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했을 때, 40년 뒤라면 노화 역행 기술이 더 이상 공상과학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닌, 현실의 영역으로 논의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75세 노인이 40년 뒤에 20대의 신체로 되돌아가는 수준의 완전한 노화 역전은 현재의 과학 기술 수준과 이론적 한계를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현재 노화 연구는 노화 속도를 늦추거나 일부 손상된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회복시켜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개체의 생물학적 나이를 수십 년 단위로 되돌리는 것과는 개념적 차이가 큽니다. 세포 리프로그래밍 같은 기술이 실험실 수준에서 세포의 나이를 되돌리는 가능성을 보였지만, 이를 인체 전체에 안전하고 균일하게 적용해 모든 장기와 시스템을 젊은 시절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은 암 발생 위험,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 등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난제가 많아 가까운 미래에 달성하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