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노숙자가 감소하고 매우적은 노숙자만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핀란드는 전체 노숙자가 5000명미만으로 들었으며 통계적으로 봐도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노숙자가 감소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유럽에서 유일하게 이러한 모습이 나탄다는데 이러한 배경이 무엇인지 이유와 배경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핀란드의 과감한 노숙자 지원 정책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고 합니다.
금주, 재활지원, 취업교육, 영구주택 지원 등이라고 합니다.
핀란드가 과감한 노숙자 지원 정책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기존에 이미 사회복지 시스템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 때문에 예산의 큰 증가 없이 노숙자 지원 체계 확립이 가능했습니다.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이 많아 노숙자 지원 주택 마련에 부담이 적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핀란드 정부는 '하우징 퍼스트' 정책을 실시하여 노숙자에게 조건없이 집을 먼저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를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으로 노숙자들의 삶을 개선하여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유럽 전역에서 노숙자는 늘고 있는데 반해 , 핀란드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1987년 노숙자가 18,000명 정도였으나 2017년에는 7112명으로 줄었습니다. 핀란드는 '2027년 노숙자 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핀란드와 같은 경우 단계적인 노숙자에 대한
계단식 지원정책과 더불어서, 주택 우선정책 등
이러한 복지 정책을 통하여 노숙자를 상당히
줄일 수 있던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파트는 안전을 뜻한다. 나는 이제 돌아갈 집이 있고, 나는 이제 온전한 나 자신이 되었다(I am someone again, I am me)" 이 곳에서 주거를 지원받은 핂란드의 한 59세 여성의 소감이라고 합니다. 1985년 출범한 Y재단은 현재 노숙인이거나 노숙인이 될 위기에 처한 사람들에게 저렴한 집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50개 이상의 지자체에 1만 6650채의 집을 이미 공급했다고 합니다. 새로 짓기도 하지만, 민간영역에서 사들여 임대하기도 한다. 자칭 핀란드에서 네 번째로 집이 많은 집주인(the fourth largest landlord)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핀단드 정부의 국민 복지의 가장 우선 순위는 집제공 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