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

경제용어 '베어허그' 가 M&A 할때 쓰는용어 인지 궁금합니다.

베어허그가 매수자가 경영진에게 매수할거라고 통보하는거라던데

이게 가능한 일인지 궁금하고 , 경영진은 보통 어떤대응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어허그란 공개매수전략의 일종으로

      매수자가 매수를 목표로 삼은 기업의 이사들에게 급작스럽게 매수를 제의하는

      편지를 보내고 빠르게 의사를 결정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매수전략이다이며

      이사들과 같은 경우에는 큰 고민에 빠지고 매수를 반대한다면 주주들의 저항에

      부딪힙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M&A 할떄 쓰는 방식으로 공개매수 전략의 일종입니다. 매수자가 매수를 목표로 삼은 기업의 이사들에게 급작스럽게 매수를 제의하는 편지를 보내고 빠르게 의사를 결정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매수전략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어허그'이란 사전 경고 없이 매수자가 목표 기업의 경영진에 편지를 보내 매수 제의를 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마치 곰이 몰래 껴안듯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회사의 매수가격과 조건을 제시한다고 해서 이같은 이름이 붙었습니다.

      베어허그는 공격측이 갑작스럽게 경영권 인수 의사를 공표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미국의 경우 M&A를 시도하는측이 경영권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공식적인 문건을 통해 통고하면 대상 회사의 경영진은 신의성실의원칙에 입각해 이같은 사실을 주주들에게 알리도록 해놓고 있습니다.

      이와함께 주주외의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증권거래소를 통해 공시해야 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증권거래법이나 관련 규정에 베어 허그와 같은 사례 발생시 대상기업의 경영진이나 대주주에게 이같은 의무를 전혀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우리나라 법원은 경영권 분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실질적으로 그다지 효과가 없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어 허그는 말 그대로 곰이 갑자기 뒤에서 덮치는 것 같은 기습 공격을 의미 합니다. 즉 M&A를 시도하는 측이 대상 기업의 경영자등에게 경영권을 인수 하겠다고 갑자기 통고하는 것으로 말하자면 선전포고에 해당합니다.경영진이 기존의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비율을 변경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하는 등 경영진이 경영권을 지키기 위해서 대응 하기 힘든 요구 사항을 제시하고 경영진이 우왕 좌왕 하는 틈을 타서 경영권을 인수 하는 작전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어허그라는 것은 M&A에 대한 적대세력이 피인수 대상기업에 대한 M&A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이러한 베어허그는 우리 말로는 곰의 포옹이라고 하는데, 곰의 포옹이란 적대적 M&A를 시도하는 세력이 경영권을 차지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수단 중의 하나인데, 인수를 하려는 대상 기업의 경영진에게 매수가격과 매수조건에 대해서 작성한 내용을 전달하여 빠르게 해당 인수조건을 통해 기업을 매도할 것을 촉구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통보가 곰의 포옹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로는 곰이 마치 뒤에서 몰래 다가와서 껴안게 되는 것처럼 피인수 기업으로서는 갑작스럽게 위협이 닥치게 되는 것과 동일합니다. 적대적 M&A를 시도하는 세력은 주말 직전 혹은 주말에 이러한 내용을 피인수 기업에게 전달하고 주말만 결정할 시간을 주어 대상 기업의 경영진이 오랫동안 생각할 시간을 주지 않게 만들어 대응하지 조차 못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위협이 닥치기 때문'에 곰의 포옹이라고 하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