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드콜 상품은 무조건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인가요?
미국 배당주들 중에 커버드콜 상품에 관심이 있어 이것저것 공부중에 있습니다. 커버드콜 상품의 경우, 배당이 높은 대신에 지속적으로 가격이 하락하는데요.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으면 결국 '0'에 수렴하는 구조인건가요? 그렇다면 투자 상품으로서 어떠한 메리트가 있기는 한걸까요? 궁금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커버드콜 상품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높은 배당률로 인해서 커버드콜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다만, 커버드콜 ETF는 장기적으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무조건은 아닐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무조건 원금이 까이는 구조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쉽게 말하면 주식을 들고 있으면서 옵션 프리미엄을 받는 거라 배당에다 옵션 프리미엄까지 더해 수익이 쌓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주가 상승 폭이 제한되고 주가가 계속 흘러내리면 손실을 막아주지도 못합니다. 그래서 장기 보유 시에는 배당과 프리미엄을 다 재투자하지 않으면 원금 방어가 쉽지 않은 거죠. 느낌상 인컴형으로 꾸준히 현금 흐름 뽑아내는 데 장점이 있고 자본차익을 크게 노리는 투자자라면 매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기초자산이 콜옵션을 매도한 상품입니다
구조상 기초자산이 하락하지않고 횡보를 하면 손실이 일분 날수는 있으나 큰 변동이 없으며 하락하면 그대로 손실이 나는 상품입니다
다만 기초자산이 상승할경우엔 콜옵션매도로 인한 손실이 그대로 반영이 되고 이로인해서 기초자산의 상승수익이 서로 상쇄됩니다 즉 구조상 어떤 경우에도 상승하지 않고 하락시에는 그대로 손실이 나는 구조가 커버드콜이며 만약 배당을 적게하고 콜옵션매도량을 줄이면 상승시엔 기초자산 비중이 더 커서 상승할수 있는 구조는 됩니다
결론적으로 극단적으로 배당률이 높지않고 콜옵션매도수량이 기초자산보다 적은 구조의 커버드콜이라면 기초자산이 상승하면 커버드콜상품도 수익이 제한적으로 나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 상품은 무조건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는 아닙니다. 하지만 원금 손실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특히 장기적으로는 그 위험이 커집니다.
커버드콜은 기초자산(예: 주식)을 보유하면서 해당 자산을 일정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장점: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통해 정기적인 현금흐름, 즉 높은 배당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단점: 기초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수익률이 콜옵션 행사가로 제한됩니다. 즉, 상승분을 놓치게 됩니다.
커버드콜 상품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이유들로는
주식시장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는데 커버드콜은 주가 상승의 대부분을 옵션 매도 프리미엄으로 포기하기때문에 기초자산의 자본 이득을 거의 얻지 못합니다.
옵션이 만기될때마다 새로운 옵션을 매도하며 프리미엄을 받지만 이 과정이 반복될수록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성에 따라 상품의 순자산가치가 조금씩 깎여나갈 수 있습니다.
하락장에서는 기초자산 가치와 함께 상품 가격이 하락합니다. 상승장에서는 옵션으로 인해 주가 상승분을 놓치며 상대적으로 가치가 하락합니다. 즉, 주가 하락에는 취약하고 주가 상승에는 둔감한 비대칭정 특성을 가집니다.
투자 상품으로서의 메리트로는 높은 현금 배당, 변동성 낮은 시장에서의 활용, 하락장 방어로 손실을 일부 상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커버드콜은 주가의 장기적인 상승을 기대하는 일반적인 주식 투자와는 다른 목적을 가진 상품입니다. 자본 이득보다는 안정적인 고배당을 통한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배당을 재투자하지 않더라도 0에 수렴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 가치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투자를 고려할 때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현금 흐름 필요성을 신중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