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치과치료전 촬영하는 영상검사에서.

성별
남성
나이대
29

치과를 아주 오랜만에 방문하면 ct인지 x레이인지,영상검사를 하던데 사진을 보니 치아뿐아닌 일부

해골처럼 얼굴 전체적인 안면사진도 나오던데 궁금한게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일부 뇌질환이나 축농

증같은것도 발견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
    유성선병원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치과사진을 촬영하는데 brain이 포함되는 것을 저는 본적이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만약 brain 일부가 보인다면

    해당부분의 이상여부는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비동 (축농증은 부비동의 이상을 말합니다.)에 이상이 있는 경우 치과에서 찍은 사진에 부비동 일부가 촬영이 된다고 해서 해당부분에 한해서는 이상여부를 이야기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부비동의 경우 CT는 다르지만 엑스레이의 경우 잘 보기위한 view가 별도로 있습니다.

    paranasal view(부비동을 관찰하기 위한 특정 각도)라고 해서 상악동을 보기위해서는 waters view 전두동 사골동을 보기위해서는 caldwell view, 접형동을 보기위해서는 lateral view등...이러한 view를 통해서 촬영된 해당부분 영상만이 이상여부를 확인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에 설사 치과검사시에 부비동 일부가 촬영이 되었다고 해서 이상여부를 이야기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치과를 오랜만에 방문하셨을 때, 영상검사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X레이를 촬영하며, 치아뿐만 아니라 턱과 주변 구조물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턱뼈나 부비동 주변도 함께 촬영되기 때문에, 이 부위의 이상 소견이 포착될 수 있습니다.

    X선이나 CT 촬영을 통한 영상에서 축농증과 같은 부비동 이상은 어느 정도 식별될 가능성이 있지만, 뇌와 관련된 질환은 치과의 영상검사로는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뇌질환을 상세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뇌촬영이 필요합니다. 치과의사가 해당 영상에서 우연히 이상을 발견했을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병원의 다른 진료과에 의뢰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치과에서 진행하는 영상검사는 보통 X-ray나 CT를 사용하여 치아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특히, 치과 CT(3D 영상)는 치아와 그 주변 조직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유용합니다.

    이 경우, 얼굴과 해골의 일부분도 포함된 사진이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치아뿐만 아니라 뼈 구조와 주변 조직을 포함한 전반적인 상태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치과 영상에서 일부 뇌질환이나 축농증과 관련된 이상이 우연히 발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T 영상에서는 부비동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축농증(부비동염)의 징후가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상 검사 목적이 치아 및 구강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뇌질환 같은 다른 문제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별도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치과의사도 이러한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추가 검사를 권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