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헐벗은실오라기114
헐벗은실오라기11422.12.14

철새들은 어떻게 길을 찾을까요

철새들이 왔다가 그 먼거리로 돌아가고 다음해에 어김없이 찾아오는거 보면 무언가 길잡이가 있을거 같은데 어떻게 길을 찾으며 오고가는걸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철새들의 이동 방법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현재 그럴듯한 주장은 학습에 의한 이동입니다.

    즉, 새들의 집단 지성으로 어디로 움직여야할지 학습이 되었기 때문에 다음에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새들이 태양이나 별자리, 그리고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증명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 철새들은 예민한 감각기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30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쌍안경 등의 장비를 이용해 관찰해야 한다. 새의 시력은 사람보다 8~40배 좋다. 화려한 색의 옷을 입고 움직이면 새를 자극할 수 있다. 녹색이나 갈색 옷을 입고 탐조지로 가는 것이 좋다. 새들의 비행을 찍기 위해 새에게 돌을 던지거나 크게 발을 굴려 놀라게 하는 행동도 하지 말아야 한다. 철새 탐조 시설 서천 조류생태전시관 천수만에서 멀지 않은 서산시 부석면에는 서산버드랜드가 위치한다. 철새를 주제로한 철새 박물관과 미로정원이 있으며, 탐조투어도 운영되고 있다.


  • 지구 자기장은 태양에서 발산되는 유해한 플라스마의 흐름인 태양풍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는데, 새를 비롯한 다양한 동물들은 이러한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강도를 감지해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방향을 찾을 수 있다.

    출처 :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841812.html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1990년대 독일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바로는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새들 내부에 자석이 있고 그것을 활용해서 이동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