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14

철새는 길을 어떻게 찾는건가요?

철새는 계절에 따라 단체로 장거리 이동을 하잖아요.

그런데 이 철새들은 어떻게 자기가 가야할 곳을 알고 길을 따라 떠나는건가요?

본능이라지만 신기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건 없지만 지구 자기장을 기준으로 여행한다는 설이 제일 신빙성이 높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가 이동하며 방향을 잡는 원리는 여려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보통 새의 종류에 따라 다른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중 일부 새는 지구 자기장을 인지하는 감각을 통해 방향을 잡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조류는 계절에 따라 이동합니다. 그 이동거리가 매우 긴 것을 철새라고 한다네요. 각대(脚帶)시험에 의하여 확인된 바에 의하면, 제비는 같은 마을에 대부분의 개체가 되돌아왔으며, 갈매기류에서는 같은 둥우리에 같은 부부쌍이 몇 해 계속하여 되돌아왔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① 이동방향:A지방의 둥우리에서 채집한 철새의 알을, 동쪽 또는 서쪽으로 수백 km나 떨어진 그 종의 새가 살지 않는 B지방으로 가져가 인공부화시키고 새끼를 키워 가을의 이동시기에 각대를 끼워 놓아주면, A지방으로부터 그 종의 새가 날아가는 방향으로 B지방으로부터도 날아가기 때문에 원래의 월년지와는 동떨어진 지방으로 가요. 따라서 몇 번씩이나 이동경험이 있는 노련한 성조(成鳥)에 유도된다는 것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유전적·생득적으로 날아가는 방향을 알고 있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② 방위의 판정:철새를 그 영소지에서 잡아 새장에서 사육할 때 이동시기가 되면 일정방향으로 머리를 향해 퍼덕입니다 ㅎ. 이것은 '이동의 충동'이라고 하는데, 그때 주로 머리를 향하고 있는 방향이, 바로 그 지방에서 그 종이 이동하기 위하여 날아오르는 방향과 일치해요. 완전히 흐린 날, 해가 보이지 않으면 이 방향이 완전히 흩어져 버린다고하네요. 따라서 태양위치가 방향 판정의 기준이 되고 있다고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