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순박한상괭이294
순박한상괭이29423.02.23

한은 에서오늘 기준금리 동결 시켰는데 문제가 되지 않나요

미국 기준금리 보다 낮은데 한은에서도 미국 금리랑 비슷하게 올리던지 같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물가는 폭등 하는데 대체 왜 동결 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로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데 미국연준에서 또 빅스텝으로 움직이면 그땐 격차가.더 벌어져 여지없는 같은동조는 좋지않을것같습니다.또한 경기둔화로 금리쉽게 인상시키기엔 부담입니다인플레이션도 막고 환율도 하락하여 가치가 올라가고 월급은 올라가고 유가도 안정이 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다만 가장먼저해결해야될 경기침체가 올 수있는상황을 고려해서 결정한것같습니다.미국이 금리인상을 예고하는데 ㄹ가먼저 올릴 필요는없습니다.3월.5월 미연준FOMC에서 결정될 금리인상예측에 선방영하면 그 인상추이가 예상밖이라면 난처해질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공공요금폭탄 때려놓고 물가 상승시켜놓고서는 금리는 동결이라는게 의아합니다.

    대부분 전문가들도 이해못하는 정책이죠.

    굳이 지금 공공요금을 올렸어야했나.

    금리를 올려 언른 물가안정되고 나서 해도 되는데 말이죠.

    추측컨데 지금 현재 물가가 0.2% 정도로 소폭올랐다고 생각하면서

    국가, 기업, 가계 부채들이 너무 높아 여기서 더 높이다간 부채가 너무 급증하니 부담이 있겠고

    이번 달 끝나면 2달의 시간이 있으니 다음 달엔 물가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동결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늘 한은의 금리동결은 높은 확률로 예상된 상황이었는데, 우리나라의 가계대출 연체가 증가하고 있고 PF대출 부실화를 막기 위해서 정부가 지속적으로 금리를 누르고 있었던 만큼 미국의 금리 인상 전까지는 최대한 버틸려고 할 가능성이 높아보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한은의 결정은 3월 CPI값과 3월에 있을 FOMC의 결과를 보고 판단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전제를 두고 판단판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의 금통위 일정이 4월 13일에 있기 때문에 미국의 3월 22일 FOMC회의에 따른 여파를 어느정도 사후에 커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3월 CPI값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고 재상승을 하게 되는 경우에 가장 큰 문제점은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2월 초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달러환율이 상승하고 있는데, 3월의 CPI값이 나오게 되면 환율은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달러환율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도 큰 악재이나 현재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개인과 기업들의 부실화가 더 큰 문제점으로 보이는 상황이다 보니 섣부른 금리인상을 하지 못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속도를 어느정도 맞추는 것이 자본이탈이나로 인한 환율 상승, 그리고 물가 상승 등의 문제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가계부채가 GDP 대비 100% 넘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일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와 경기 두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내린 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최종금리는 3.75%로 한번 정도는 더 올릴 가능성이 있다는 멘트도 남겼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동결이유는 간단합니다. 가계부채가 많아서 입니다. 한국은 전세계에서 가계부채가 탑랭크 위치 합니다.

    만약 0.25% 올린다면 가계부채가 눈덩이 처럼 많아집니다. 그리고 중소기업들은 부도나고 난리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