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초록산
초록산

자발적으로 상장폐지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최근 상장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상폐하기 위해서 공개시장매수를 신청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요. 상장폐지를 하는 것의 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발적 상장 폐지는 경영권 안정 확보나 비공개 경영 전략을 위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공개시장매수를 통해 지분을 회수하고 소수주주 지분도 매입하게 됩니다. 규제 회피, 비용 절감 등도 주요 이유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상장폐지를 하는 이유는 경영의 자율성과 비용 절감에 기인합니다.

    상장기업은 다양한 의무와 비용을 부담하는데, 상장폐지를 통해 경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발적 상장 폐지는 경영권 안정 등이나 규제 회피, 비용 절감, 기업 구조조정 등을 위해 선택이 됩니다.

  • 일반적으로 상장한 상태에서는 주주 등 외부의 간섭이 상당히 많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영간섭의 리스크가 있어 오너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장폐지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회계감사등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인 경우도 있고, 실적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아니면 주가가 장기간 저평가 되어 있을 때 그 가격에 외부 투자자에게 가치를 공유하고 싶지 않아서 일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증시에 상장 되어 있으면 자금조달 등이 용이하긴 합니다 하지만 기업하는 입장에서 증시에 상장되어 있으면 각종 상장 규정을 따라야하니 여간 피곤한게 아닐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돈 많은 기업들은 공개매수 해서 자발적으로 상장폐지를 하는거죠!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폐찌라고 하는 것은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처분하는 것으로 자발적으로 한다는 말은 기업이 주식시장에서 자사의 주식을 상장폐지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것은 회사의 운영방안에 주주의 의견반영보다는 자사의 계획대로 운영하길 희망하는 경우, 또는 상장유지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들이 주요한 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장시장에 있을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공개에서 보다 자유롭기 위한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은 자본조달을 위해서 있는곳입니다 만약 해당 기업이 부채비율이 매우 낮고 현금성자산이 풍부하며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없는 기업이라면 굳이 상장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경우 증자로인한 자본조달의 이유가 없는 상황이며 오히려 상장을 함으로써 각종 공시나 내부회계 그리고 분기별로 매우 엄격한 감사기준이 있으며 거기다가 현재 상법개정으로 인하여 더더욱 이부분에 있어서 관리 감독이 엄격하게 되었으며 이사진들도 일반주주들의 눈치를 봐야하는등 경영외적으로 매우 피곤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관리 비용이 더욱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럴 경우 차라리 비상장회사로 있는게 훨씬 대주주입장에서 좋을 수 있고 또한 비상장사로 있게 된다면 일반주주나 소액주주에 상관없이 대주주입장에서 회사의 경영적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회사를 사업부 분할이나 계열회사로의 일감몰아주기 또한 자산매각을 통한 배당확대등 여러 측면에서 대주주의 이익이 될 수 있는 회사의 경영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상장회사로서의 장점이 생길 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발적 상장 폐지는 경영권 안정, 규제회피 그리고 비용 절감 등이 주요 이유 입니다. 상장을 유지 하기 위해서는 공시, 감사 등 부담이 크고 주가가 저평가 될 경우에는 외부 간섭도 늘어나게 됩니다.

    특히 지배주주가 기업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지분을 매입해서 지배력을 강화 하려는 목적이 발생하기 때문이죠

    즉 비용 대비 상장 유지 이유가 적을 때 상장 폐지를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