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23.09.03

밤에 빛나는 별을 망원경으로 보면 빛이 나질 않는데 왜 그런건가요?

별 관측소에서 밤에 별관측을 하고 있는데 육안으로 보면 엄청나게 많이 빛나는 별을 실제로 망원경으로 보면 빛이 사라지고 행성의 모습들이 보이던데 왜 그런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빛나는 대상들은 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천체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빛나는 천체 중 일부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행성일 수 있습니다.

    이런 행성들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키지 않고 항성의 빛을 반사하여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망원경을 통해 보면, 반사되던 빛 대신 행성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망원경으로 별을 관측할 때 빛이 나지 않는 것은 별의 특성과 망원경의 동작 원리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별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빛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1. 밝기 조절: 별은 육안으로 보기에는 작은 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밝은 빛을 발산합니다. 따라서 망원경을 사용할 때는 별의 밝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너무 밝게 설정하면 빛이 너무 강하게 들어와서 빛나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

    2. 포커스 조절: 망원경의 포커스를 조절하지 않으면 별은 빛을 잃게 됩니다. 망원경은 특정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이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빛을 집중시키지 못하고 별은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3. 별의 크기: 별은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가까운 별은 작게 보이고 먼 별은 더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망원경으로 가까운 별을 관측할 때는 크게 보일 것이지만, 먼 별은 작게 보이거나 빛나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

    4. 망원경의 확대: 망원경을 사용하면 별의 크기가 커지지만, 이로 인해 별의 밝기가 분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대를 적절히 조절하여 별을 빛나게 관측해야 합니다.

    망원경을 사용하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세부적인 성질과 특성을 관찰할 수 있지만, 별의 빛이 사라진 것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망원경을 올바르게 조절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3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망원경을 통해 보였을 때 덜 밝게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망원경은 멀리 있는 물체를 크게 보여주는 것 외에도 빛의 분포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기능이 있습니다. 육안으로 볼 때, 별은 그렇게 작아서 우리 눈에 하나의 밝은 점으로만 보입니다. 그러나 망원경으로 볼 때, 그 밝은 점이 확대되어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 대기는 별빛을 퍼뜨리고 찌그러뜨리며, 이로 인해 별이 더 크고 밝아 보일 수 있습니다(이 현상을 천문학에서는 '시창'이라고 합니다). 망원경은 이런 대기의 영향을 줄여주므로, 별의 실제 크기와 밝기를 더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 사용하는 망원경의 종류와 설정에 따라서도 관측 결과가 달라집니다. 일부 고급 망원경은 여러 가지 필터나 카메라 등 추가 장비를 사용하여 사진에서처럼 선명한 색상과 세부사항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관측하는 천체가 실제로 행성일 수도 있습니다. 행성들은 자신만의 광을 발생시키지 않고 태양광만 반사하기 때문에, 어두운 배경 앞에서 상대적으로 밝아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육안과 망원경 간에 별의 밝기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육안으로 보면 엄청나게 많이 빛나는 별을 실제로 망원경으로 보면 빛이 사라지고 행성의 모습들이 보이는 이유는, 별과 행성의 크기와 거리 때문입니다. 별은 태양과 같은 거대한 가스 구체로,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때문에 육안으로 보면 별의 빛이 지구의 대기 중의 미세한 입자들과 부딪혀 산란되어 빛이 퍼져 보입니다. 반면에 행성은 별과 비교하면 크기가 작고, 지구에서 훨씬 가까이 있습니다. 때문에 망원경을 통해 행성을 보면, 행성의 크기가 작아서 별의 빛이 산란될 수 있는 영역이 작아지고, 행성의 실제 모습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이지만, 행성은 별에서 받은 빛을 반사하는 천체입니다. 때문에 망원경을 통해 행성을 보면, 행성이 별에서 받은 빛을 반사하여 빛을 내기 때문에, 별의 빛이 사라지지 않고 행성의 모습이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