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2.21

조선 후기 탈춤은 당시 사회상을 어떻게 반영해서 표현했나요?

봉산탈춤 등 조선시대 탈춤은 궁중행사에서 연극이었던 공연이 민중 문화로 바뀐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당시 탈춤은 어떤 주제의식을 가지고 주로 어떤 요소를 표현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능하고 부패한 양반 혹은 계율을 어기고 문란한 생활을 하는 파계승을 조롱하고 그릇된 남녀 관계나 가난한 서민들의 생활을 풍자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탈춤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여 표현한 민속극으로, 주로 양반 계층의 부패와 허위의식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탈춤은

    양반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성격이

    상당히 강하였은이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분사회를 풍자하거나 민중들의 고달픈 삶을 해학적으로 그렸으며 여러종류가 있습니다.

    ​가면을 스고 하는 놀이는 농경 사회 초기부터 있었습니다. 가을 걷이에 감사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거나 굿을 할때 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궁중에서 열리는 연회나 불교행사때 탈춤 공연이 마련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산대도감이라는 관청을 두어서 국가행사가 있을때 가면극을 상영했습니다.

    그러다 조선후기에 민간에 보급되면서 탈춤을 전성기를 맞이하였습니다. 나중에는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탈춤을 전문적으로 추는 집단이 생겨났습니다.

    탈춤의 내용은 지배층이나 특권층을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특히 조선후기는 무능하고 부패한 양반 혹은 계율을 어기고 문란한 생활을 하는 파계승을 조롱하고 그릇된 남녀 관계나 가난한 서민들의 생활을 풍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