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싹싹한낙지45
싹싹한낙지45

아이들이 커서 무생물이 되고싶어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6세 미만? 정도 되는 아이들에게 장래희망을 물어보면 경찰차, 소방차 심지어는 크리스마스 트리, 사탕 등등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 되고싶다고 이야기하는데요(저도 어릴땐 공룡이 되고싶었어요)

인지발달이론의 물활론적 사고에 의해서 저런 귀여운 상상을 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들의 대답은 정말 신선하죠. ㅎ 아이들은 물활론적 사고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무생물도 살아있고 감정이 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본인도 무생물이 되고 싶어하는 상상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상상력과 창의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본인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아개념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이 되고 싶은 것과 현실 등을 구분하기 힘들어서 이런 귀여운 대답을 하기도 합니다.

  •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아주 순수한 영혼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이유가 있는게 아니고 아이들의 눈에서 그냥 멋있는것이 되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같습니다. 보통의 장래희망은 아이가 좋아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것을 보여주면 아이가 되고 싶어 하는것이 바뀔 수 있고 아이의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되니 참고하세요

  • 어릴때 장례희망에 대해 물어보는 이유는

    다양한 직업이 있고 그런 직업에 대한 탐구 의식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사실 어릴때 가졌던 장례희망을 어른이 되서까지 유지하는 경우는 많이 없구요

    본격적으로 직업을 선택하는 시기는 중/고등학교부터 고민하여

    대학진학시 과를 선택할때 직업에 대한 첫 선택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3세~4세 사이의 아이는 Lavin 상상 기반 놀이라고 불렀던 과정의 기간을 겪습니다.

    아이들은 이 시기에 요정, 괴물 또는 경우에 따라 공룡과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아기가 태어나면 처음 3개월 동안은 자신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지만, 3살이 되면 자아가 성립되면서 자신이 세상에

    있다는 감각을 익히기 시작합니다.

    아이가 공룡이 되고 싶어하는 이유는 공룡은 오늘날 살아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공룡은 거대하고 신비로운 존재인만큼 막강한 파워도 가지고 있기에 동경심 때문에 공룡을 좋아하고, 공룡이 되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들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깊이 생각을 하는 게 아닙니다. 지금 현재의 감정과 되고 싶은 것에 대한 생각에 충실한 것입니다. 어른처럼 먼 미래의 나의 모습을 고려하고 심사숙고하여 고민하는것이 아니라 지금의 내가 단순하게 미래에 대해서 상상해보며 생각을 하는 것이랍니다.지금 현재 감정과 되고 싶은 것에 대해 본능에 충실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