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머쓱한바위새27
머쓱한바위새2722.09.05

현재 유럽에서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제 실시한다고 하는데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지금 유럽에서는 천연가스 가격 수배로 뛰어서 민생이 난리라던데, 오늘 보니 러시아가 가스관 아예 잠그겠다고 하네요. 유럽이 피해가 막심한 상황에서 굳이 해야할지 의문입니다. 안하면 유럽에 불이익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산 석유 가격상한제는 특정가격이하로만 구매한다는것으로 러시아가 크게 반발을하고 있는데 러시아전쟁 종결 및 원유가격안정화등을 이유로 시행하는것인데 더 많은 나라가 참여할수록 러시아 경제에 좋지못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보는데 최근 러시아가 독일을 비롯한 천연가스차단에 따른 에너지대란등이 발생할 여지가 큼에 따른 대책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침공하면서

    유럽과 미국 등이 경제적인 제제를 가하였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써 천연가스 및 석유 등의

    공급을 줄여버린 것입니다.

    미국 등 서방국가들은 러시아산 원유의 가격 상한제를 실시함으로써

    러시아에 원자재 수출에 대한 막대한 이익을 거두는 것을 제제를 하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시아가 유가 상한제를 도입하는 국가들에게 원유 수출을 중단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가상한제는 본래 러시아의 전쟁에 필요한 수입을 줄이고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만들었지만 예상대로 잘 진행될지는 현재로선 의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솔직히 G7국가들의 러시아 석유 상한제 도입은 실효성이 떨어져 보입니다. 지금 석유 가격이 지난 7월에 비해서 많이 떨어져서 숨통이 트이니깐 이제 러시아 전쟁재원 마련이라는 구실로 이야기를 하지만 현재 러시아 석유 수출은 중국과 인도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과 인도는 미국+유럽의 러시아 제제로 인한 어부지리 실익을 많이 거두고 있는 상황이고 미국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 석유 상한제에 대해서 동참을 할까 싶네요. 그럴거였으면 예전에 러시아 석유 수입이나 금융제재 때 동참하고 고립을 시켰을테고, 그랬다면 현재 러시아 경제가 저렇게나 좋아지지 못하고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고 전쟁이 빠르게 종식될 수 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미 실효성도 떨어지고 늦어버린 정책을 대책이랍시고 내놓는 것을 보면 어이가 없어 보이긴 합니다.

    유럽에는 큰 불이익이 없는게 어차피 지금 유럽은 러시아산 석유나 천연가스가 수입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러시아 석유 상한제는 본인들에게 영향을 미칠게 전혀 없고, 오히려 자기네들이 못사는 러시아산 원유를 사고 있는 국가들에게 너희 어쩔수 없이 사더라도 비싸게 사!라고 압박주는 겁니다. 내가 못먹는 감 남도 비싸게 사서 먹어라는 느낌이 강하네요.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시아의 견실한 재정 상태를 감안할 때, 경제에 과도한 피해를 주지 않고 하루 원유 생산량을 500만 배럴까지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세계 다른 지역 대부분에게 재앙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로 인해 유럽물가가 치솟을것으로 보이고 더불어 세계 대부분의 나라까지 피해가 미칠것으로 보입니다.